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부산 저유소 7곳 대부분 아파트 등 주거지역과 근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부산에 소재한 정유회사 저유소 7곳 대부분이 대규모 아파트 등 주거지역과 근접해 있어 화재를 대비한 안전점검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11일 더불어민주당 최인호(부산 사하갑) 의원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가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부산 내 7곳의 저유소에서 54개 탱크, 24만6000㎘의 석유제품을 보관하고 있었다.

정유회사가 관리하는 저유소 중에 광역시에 소재한 곳은 부산 7곳으로, 전남16곳, 전북 11곳 등과 비교해 적었다.

하지만 인구가 밀집한 광역시 중에서는 가장 많았다. 울산은 부산과 같은 7곳, 대전 6곳, 인천 6곳, 광주 1곳의 저유소 시설이 각각 소재하고 있었다.

특히 부산은 2개 저유소 시설이 1400여 가구가 살고 있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와 불과 170m 거리에 인접해 있었다. 또 다른 1곳의 저유소 역시 500여 가구가 사는 아파트 단지와 250m 떨어져 있었다. 항만 내 설치된 저유소 3곳은 주거 및 교육시설이 밀접한 도심과 거리가 1㎞에 불과했다.

이같은 저유소 시설의 안전 관리는 여러 기관에 나뉘어져 있어 관리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최 의원은 지적했다.

저장탱크로 구성된 저유소는 소방청이, 저유소와 연결된 송유관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안전 관리를 맡고 있으며, 부지 인허가와 인근 건축물의 규제 등은 해당 지자체의 소관이다.

최 의원은 "부산지역의 저유소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와 인접해 안전사고에 따른 피해가 훨씬 클 것이다"며 "부산시와 소방청 등이 합동점검반을 구성해 철저하게 부산 소재 모든 저유소 시설에 대해 안전성 여부를 철저하게 점검해야 한다"고 밝혔다.

yulnetphoto@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