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5 (화)

[2018국감]특허청 등록료 수입 급증했는데도 사회적 약자 지원은 제자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특허청의 수수료와 연차등록료 수입은 급등하고 있으나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원은 뒷걸음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3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조배숙 의원(익산을·민주평화당)이 특허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특허청의 수수료 수입은 5001억원으로 최근 5년간 21%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수료 수입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연차등록료의 수입은 2792억원으로 5년간 30% 급등했다.

국민이 지불하는 출원, 심사 수수료의 경우 서비스 제공비용인‘원가’가 존재하지만, 지식재산권 유지에 필요한 연차등록료의 경우‘원가’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허청은 원가가 적용되는 출원, 심사 등의 수수료에서는 2016년 1186억원, 2017년 1154억원의 손해를 보고 있는 반면 특허 등 지식재산권 등록에서 얻어지는 연차등록료에서는 손해의 2배가 넘는 막대한 수입을 얻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의 경우 연차등록료 수입에서 출원, 심사 등 수수료의 손해를 뺀 수입은 1638억원에 달했다.

특허청의 막대한 여유재원과 수수료 수입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약자에 대한 지원사업 예산은 감소했다. 중소기업의 지역 지식재산 역량 확보에 사용되는‘지식재산 창출지원사업’은 2014년 262억원이던 예산이 지난해에는 131억원으로 반토막났다. 사회적 약자들에게 무료 변리서비스를 제공하는‘공익변리사 특허상담센터’의 예산은 6년째 15억원 수준으로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조 의원은 “막대한 수수료 수입과 원가 없는 연차등록료의 가파른 상승으로 특허청은 수년 째 돈이 남아돌고 있는 상황”이라며 “막대한 수수료 수입을 쌓아두고 있을 것이 아니라 수수료 인하와 사회적 약자 지원 확대를 통해 올바르게 사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용근 기자 yk21@kyunghyang.com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
[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