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9 (수)

한때 명동거리 점령…'회생 신청' 스킨푸드 14년 흥망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양성희 기자] [폐업설 돌 만큼 어려워 결국 법원에 기업회생절차 신청…메르스·사드·노세일에 발목]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때 명동거리를 지배했던 화장품 로드숍 대표 브랜드 스킨푸드가 악화된 재무상황을 감당하지 못하고 법원에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 회생 여부가 주목되는 가운데 화장품 로드숍 흥망과 맥을 같이한 스킨푸드의 14년 역사에도 관심이 쏠린다.

스킨푸드는 2004년 만들어졌다. 미샤, 더페이스샵과 함께 1세대 화장품 로드숍 브랜드로 꼽힌다. 스킨푸드는 포도, 토마토 등 신선한 과일·채소를 재료로 삼아 '푸드 화장품'이란 콘셉트로 타브랜드와 차별화 전략을 폈다. 당시 웰빙 바람이 불어 이 전략은 주효했다.

스킨푸드는 2005년 '먹지마세요, 피부에 양보하세요'란 광고 문구로 대중적인 브랜드가 됐다. 2010년엔 화장품 로드숍 3위로 올라섰다. 중국인 단체 관광객이 몰려들기 시작하면서 꾸준히 성장했고 2012년 1850억원의 매출을 올려 정점을 찍었다.

하지만 네이처리퍼블릭 등 자연주의 콘셉트가 겹치는 화장품 로드숍이 속속 등장하면서 스킨푸드 성장세가 꺾였다. 2014년 52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적자로 돌아섰다.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가 불거진 2015년은 적자 규모가 2배 이상 늘어난 '최악의 해'였다.

메르스 여파를 극복할 새도 없이 이듬해엔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으로 중국인 관광객이 급감하면서 타격을 입었다. 스킨푸드는 지난해까지 4년 연속 적자를 냈다. 지난해 말엔 유동부채가 유동자산보다 169억원 많았다.

외부 상황 외에도 '노세일' 원칙을 고수하고 온라인 판매에 적극 나서지 않은 전략이 스킨푸드에 독이 됐다. 변화한 시장 상황에 대응하지 못한 꼴이 된 것이다. 이후 로드숍 세일 대열에 합류했지만 때는 늦었다.

재무상황이 극도로 나빠지자 제품 공급에 차질을 빚었다. 올해 들어 문제가 심각해지자 화장품 업계엔 '스킨푸드 폐업설'이 돌았다. 이후 매각설도 돌았으나 스킨푸드는 결국 법원에 손을 뻗었다. 스킨푸드는 전날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 개시 신청서를 냈다. 법원은 조만간 인가 여부를 결정한다.

스킨푸드는 기업회생절차를 밟게 될 경우 해외사업권 일부를 매각해 유동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미국, 중국 등 19개국에 진출한 바 있다. 또 온라인 유통망을 새로 짜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스킨푸드는 "고유의 브랜드 이미지와 제품 경쟁력을 고려하면 계속기업가치는 충분하다"는 입장이다.

양성희 기자 yang@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