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10 (목)

가계부채 6년 전과 비교했더니 “양 늘었지만 질 좋아졌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한은 가계부채DB 분석

분할상환 비중 66→82%

만기 30년이상 33→59%

연령대도 30~50대가 79%

고신용·고소득 위주 대출 늘어

연체율 8년새 3→1.37%

“여신심사 등 구조 개선 효과”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1500조원을 넘어선 가계부채 증가율이 여전히 소득증가율보다 더 높지만, 상환방식·만기구조·대출자 특성 등을 통해 본 가계부채의 질적 구조는 2010년대 초에 견줘 상당 부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한국은행이 내놓은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DB)의 이해와 활용’을 보면, 은행 주택담보대출 가운데 분할상환 대출(금액 기준) 비중은 2012년 1분기 66%에서 올해 1분기 82%로 상승했다. 대출자 수 기준으로도 65%에서 81%로 뛰었다. 약정만기가 30년 이상인 대출 비중도 같은 기간 33%에서 59%로 크게 높아졌다. 가계대출의 상환방식과 만기구조가 안정적으로 변화한 셈이다. 한은은 “안심전환대출 확대와 여신심사가이드라인 시행 등 정부의 꾸준한 가계부채 구조 개선노력 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출자 연령대도 경제활동이 활발한 30~50대 비중이 높았고, 고신용·고소득자 위주였다. 올해 1분기 연령대별 가계대출 비중(금액 기준)은 40대(30%), 50대(28%), 30대(21%), 60대 이상(17%), 20대(4%) 순으로, 30~50대 비중이 79%에 달했다. 이는 2003~2015년 사이 대출증가액의 59%가 50~80대에서 이뤄진 미국의 ‘가계부채 고령화 현상’과 대비된다.

2012년 1분기 39%였던 고신용자(1~3등급) 대출 비중도 올해 1분기 57%로 뛰었다. 중신용자와 저신용자 비중은 각각 30%, 14%였다. 한은은 “2012~17년 사이 주택담보대출 변화를 신규, 증액, 상환, 감소로 구분해 보면 대출증가의 81.6%(257조원)가 고신용자에 의한 것이었고, 이 기간에 저신용자 대출은 신규 및 증액보다 상환 및 감소 금액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가계대출이 급등한 시기 주택담보대출이 대부분 고신용자를 중심으로 증가한 점은 과거 미국의 금융위기 전 모기지대출의 상당 부분이 저신용자에 대한 대출(서브프라임 모기지)이었다는 점과 상이한 모습”이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대출자의 소득구간별 분포는 연간소득이 5천만원 이상~8천만원 미만 비중이 2012년 1분기 26%에서 올해 1분기 30%로 상승했다. 반면에 2천만원 이상~5천만원 미만 비중은 같은 기간 61%에서 54%로 하락했다. 올해 1분기 소득 2천만원 미만 차주 비중은 7%였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10년 말 3%대였던 연체율도 올해 1분기 말에는 1.37%로 크게 떨어졌다. 한은은 “미국의 경우 금융위기 당시(2009~2010년) 10%를 넘어섰던 연체율이 현재도 4%대”라며 “우리나라의 경우는 지역이나 금융업권에 따라 차이가 있긴 하지만 (가계부채가 많이 늘어난) 2014~17년 주택담보대출비율(LTV) 40~70% 규제가 시행됐고, 고신용자 위주로 대출이 이뤄진 게 현재의 낮은 연체율의 한 요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번 자료는 한은이 최근 미국 뉴욕 연방준비은행의 소비자신용패널을 벤치마킹해 구축한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한 결과다. 김성준 한은 경제통계국 차장은 “매 분기 100만명 이상의 신용정보를 나이스평가정보로부터 수집해 이를 통계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연령·거주지·신용등급·소득수준 등 개인별 고유특성 정보, 대출·신용 및 체크카드 사용실적 등 금융거래 정보, 연체·세금체납·채무불이행 등 신용도 관련 정보 등을 상세하게 수록한 가계대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최근 금융안정보고서의 취약차주 현황 등도 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분석 결과라며, 분기별 자료가 매 분기 말에서 2개월 뒤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돼 시의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설문조사가 아닌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 신뢰성도 높다고 설명했다. 또 향후 중요 변수들을 추가로 포함하거나 외부 데이터와 병합 등을 통한 확장 여지가 높아, 가계부채에 관한 다양한 미시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오늘의 추천 뉴스]
[▶ 블록체인 미디어 : 코인데스크] [신문구독]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