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8 (토)

[한은의 고민] 금리 올리자니 찜찜 그냥 두자니 찜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강서구 기자]

한미 기준금리의 격차가 11년 2개월 만에 최대치로 커지면서 한국은행에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자본유출을 막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경제 상황이다. 기준금리 인상이 자칫 부진에 빠진 한국경제를 침체의 구렁텅이로 몰고 갈 수 있어서다. 한은의 딜레마가 깊어지고 있다. 더스쿠프(The SCOOP)가 기준금리에 숨은 문제점을 냉정하게 살펴봤다.

더스쿠프

한국은행의 10월 기준금리 인상 여부에 시장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사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16년 6월 99.5 이후 26개월 만에 최저치다. 8월 기준 전년 대비 3000명 늘어나는 데 그치며 '쇼크'에 빠진 고용시장을 우려하는 목소리는 여전하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9월 중 이례적인 호황이 발생하지 않는 한 취업자 수는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며 "9월과 10월 모두 마이너스 증가율을 기록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설명했다.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올해 2분기 기준 1493조2000억원에 달하는 가계부채 우려가 현실화할 수도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159.8%였던 가처분 소득 대비 가계부채는 올 2분기 161.1%로 증가했다. 소득보다 부채가 더 많아 빚을 갚을 능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의미다. 더불어 금리 변화에 연동한 변동금리 대출 비중은 8월 기준 70%에 달한다. 기준금리가 인상으로 감당해야 할 부채 상환 부담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소득이 늘면 다행이지만 그렇지도 않다. 통계청에 따르면 2분기 소득 1분위(하위 20%) 가계의 소득은 132만5000원으로 전년 대비 7.6%나 감소했다. 2분위(하위 20~40%)와 3분위(하위 40~60%) 가계의 소득도 각각 2.1%, 0.1% 줄었다. 전문가들이 기준금리 인상이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한은으로선 미 기준금리에 인상에 맞춰 올려도 '골치'고 모른 척 동결을 해도 '골치'다.

섣부른 금리인상 경기 발목 잡을 수도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경제의 성장세가 충분히 뒷받침되지 않은 상황에서 미국을 따라 정책금리를 인상하는 것은 경기 회복에 부담이 될 수 있다"며 "경제 상황과 경기 흐름을 감안한 신중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표면적으로 나타난 한미 금리역전 현상을 해소하는 데 치중해서는 안 된다"며 "금리역전 현상의 근본적 원인인 우리 경제의 부진한 성장세 회복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기준금리 인상 시점을 둘러싼 의견도 엇갈리고 있다. 이 총재의 매파적인 발언에 힘입어 10월 인상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확신할 수 없다. 10월보다 11월 인상이 유력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공동락 대신증권 애널리스트는 "경기를 보면 동결 요인이 우세하지만 금융안정성의 우려가 높아진 점은 인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기준금리 인상에 무게를 두고 있다면 '수정경제전망'이 나오는 10월보다는 11월 인상이 유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준금리 인상 딜레마에 빠진 한은이 어떤 선택을 할지는 확실하지 않다. 지금 분명한 점은 한국의 통화정책이 진퇴양난에 빠졌다는 것뿐이다.

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

<저작권자 Copyright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