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이슈 고령사회로 접어든 대한민국

고령화사회의 그늘 혐로(嫌老)…'그림자' 된 노인들 [이슈+]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일 노인의날… 인권위 ‘2017 노인인권 실태 보고서’ 첫 발간/노인 49% "여생 빈곤 시달릴 것"/4명 중 1명 “자살 생각한 적 있다”/58% “일하려 해도 나이 많아 못해”/청장년층 87% “노인과 말 안 통해”/틀딱충·연금충 등 혐오표현 만연/인권위 “세대간 단절 심각한 수위/존엄한 노후 보장 다함께 노력해야"

세계일보

“뭐라고 해야 할지 모르겠고, 나랑 말 섞는 걸 좋아하지도 않는 것 같아서….”

경기도 구리시에 사는 이모(73)씨는 언제부터인가 명절이 불편하다. 정확하게는 젊은 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다. 이번 추석도 두 아들 내외와 손자, 손녀까지 모인 자리에서 이씨는 ‘그림자’나 다름없었다. 괜한 지레짐작일까. 하지만 아이들은 물론 아들 내외의 대화에도 그가 끼어들 공간은 없었다.

이씨는 “자식들이 부모 세대와 말 섞길 싫어한다는 신문기사가 머리에 스치더라”며 “싫은 티를 내는 걸 한번 본 뒤로는 말 건네기도 조심스럽다”고 털어놨다.

우리 사회에서 노인이 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오랜 세월 ‘늙음’은 ‘지혜’와 동의어로 여겨졌다. 하지만 요즘 노인세대는 온통 조롱, 혐오, 빈곤에 대한 걱정뿐이다. 경로(敬老)를 비꼰 ‘혐로(嫌老)’란 단어가 노인들의 이런 처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전문가들은 지금이라도 사회가 나서 노인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계일보

◆“나이들수록 그늘만…”

국가인권위원회는 지난해 전국의 청장년층(18∼64세) 500명과 노인층(65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7년 노인인권 실태조사’를 1일 공개했다. 인권위 차원의 노인 인권 종합보고서 발간은 이번이 처음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선 노인 응답자의 26%가 65세 이후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2015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의 자살사망률(10만명당 자살자 수)은 58.6명으로 전체 자살사망률 26.5명의 두 배가 넘었다. 나이가 들수록 비율이 높아지는데 80세 이상은 83.7명이나 된다.

세계일보

이는 노인들의 불안한 경제사정과 무관치 않다. 조사 결과 노인층의 절반 가까운 48.8%가 ‘여생 동안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비관했다. 경제 상태가 나쁠수록 학대나 차별을 더 겪은 것으로도 나타났다.

‘학대나 방임을 당했다’는 물음에 경제사정이 좋은 경우는 ‘그렇다’는 응답이 8.7%였지만 나쁜 경우는 12.7%로 높아졌다. 경제사정에 따라 나이로 인한 차별이나 고독사에 대한 염려도 각각 13.3%포인트, 24.6%포인트씩 차이를 보였다. ‘노후 재정을 위한 준비를 하지 못한다’는 노인들의 응답이 35.5%나 됐다. 일을 하고 싶어도 나이 제한 때문에 일자리를 얻지 못하거나(58.6%), 직장에서 차별을 경험하기 일쑤(44.3%)였다.

세계일보

◆“세대 간 단절부터 풀어야”

세대 간 단절도 심각하다. 노인층의 51.5%가, 청장년층의 87.6%가 서로를 ‘대화가 통하지 않는 상대’로 봤다. ‘노인과 청장년 간 갈등이 심하다’고 생각하는 청장년층 비율은 80.4%나 된다. 최근 청년세대에서 노인들을 ‘틀딱충’(틀니를 딱딱거리는 벌레), ‘할매미’(매미처럼 시끄럽게 떠드는 할머니), ‘연금충’(나라에서 주는 연금으로 생활하는 벌레) 등으로 비하하는 것은 이런 단절 현상과 무관치 않다.

세계일보

송오영 인권위 사회인권과장은 “세대갈등 심화 해소를 위해 세대 간 소통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중백 경희대 교수(사회학)도 “물론 세대갈등은 역사를 통틀어 언제나 있던 일이었지만 최근의 혐로 현상은 그 정도가 심하다”며 “노인과 청년들이 한발짝 물러서 서로를 이해하고 가정에서부터 소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권위 최영애 위원장은 성명을 통해 “노인이 되는 것은 누구도 피할 수 없는 만큼 모든 노인이 존엄한 노후를 보장받도록 다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창수·김주영 기자 winterock@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