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한국당 "장하성 4억5000만·백운규 7억↑…8·2 대책 이후 정권 고위층 집값 폭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일보

지난달 28일 장하성 정책실장이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이덕훈 기자


자유한국당이 12일 지난해 8·2 대책 이후 문재인 정부 주요 공직자들의 집값 상승분을 공개했다. ‘내가 강남 살아봐서 아는데, 모든 국민이 강남에 살 필요 없다'던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의 집값은 1년 새 4억 5000만원,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의 집값은 7억원이 뛰었다.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을 비롯해 김성태 원내대표와 함진규 정책위의장 등 주요 당직자들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부동산 대책 관련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고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을 비롯해 청와대 수석들과 장·차관들이 강남에 아파트를 보유해 불과 1년 새 웬만한 직장인 연봉의 10배에 가까운 수입을 올렸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김성태 원내대표는 "장 실장의 집값이 연봉의 몇 배가 올랐다"며 "말로는 집값을 잡겠다며 강남에서 버티는 이유를 이제 알 것 같다"고 말했다.

함진규 정책위의장 역시 장 실장과 백 장관 외에도 현 정부 주요 인사들의 보유 집값이 1년여 동안 얼마나 상승했는지 밝혔다.

함 의장은 "부동산대책의 주무 부처인 손병석 국토교통부 차관의 대치동 아파트는 5억 7000만원, 언론 인터뷰를 통해 집값으로 장난치지 말라던 김현철 청와대 경제보좌관의 대치동 아파트는 5억8000만원, 중소기업과 자영업자에게 대못을 박은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의 압구정동 아파트는 6억6500만원 올랐다"고 말했다.

이어 "갈팡질팡 교육정책에 혼란을 준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의 대치동 아파트는 4억7000만원,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의 이태원동 아파트는 6억5000만원, 주영훈 대통령 경호처장의 반포동 아파트는 5억원, 오동호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장의 대치동 아파트는 7억5000만원 상승했다"고 전했다.

함 의장은 " 과천·분당에 사는 고위 관료 대다수가 집값 상승에 따른 불로소득을 얻었다"며 "8·2 부동산 대책 1년 만에 부동산 정책을 이렇게 만든 정부는 내일 또 다른 부동산 대책을 발표하기에 앞서 국민에 사과부터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유병훈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