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성장엔진 식나…2분기 경제성장률 0.6%·국민소득 -1.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신승철 한국은행 국민계정부장이 4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기자실에서 2018년 2분기 국민소득(잠정) 기자설명회를 하고 있습니다.

올해 2분기 한국 경제가 전분기 대비 0.6% 성장하고 국민총소득(GNI)은 1.0% 감소했습니다.

7월 발표된 속보치보다 성장률이 0.1%포인트 낮아졌습니다.

설비·건설투자가 모두 역성장했습니다.

정부와 한국은행의 올해 목표치(2.9%)를 달성하려면 3·4분기에 평균 약 0.9%대 성장해야 합니다.

한국은행이 4일 발표한 '2018년 2분기 국민소득(잠정)'을 보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397조9천592억원(계절조정계열)으로 전 분기보다 0.6% 증가했습니다.

분기별 GDP 성장률은 작년 4분기 -0.2%에서 올해 1분기 1.0%로 뛰었으나 2분기에 다시 내려갔습니다.

성장률은 7월 발표된 2분기 속보치(0.7%)보다도 0.1%포인트 낮아졌습니다.

설비투자 증가율이 속보치보다 0.9%포인트 올라갔으나 건설투자(-0.8%포인트), 수출(-0.4%포인트), 수입(-0.4%포인트) 등이 줄줄이 하향 조정됐습니다.

2분기와 상반기 전체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2.8%입니다.

정부와 한국은행의 올해 연간 성장률 전망치(2.9%) 달성에 노란불이 켜진 것입니다.

앞으로 3분기와 4분기 평균 성장률이 전기 대비 0.91∼1.03%이 돼야 달성 가능합니다.

한국은행이 10월 수정경제전망에서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조정할 가능성도 높아졌습니다.

이렇게 되면 10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 인상 기대에 힘이 빠질 수 있습니다.

다만 한국은행 관계자는 "현재 상황으로 보면 잠재 성장률 수준의 성장세로, 이는 견실한 성장세를 보인다는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올해 1인당 명목 GNI 3만달러 달성은 무리가 없을 전망입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상반기 명목 GNI가 3.4% 증가했고 전년 동기 대비 원화는 강세여서 3만달러를 넘은 상태"라며 "하반기 명목 GNI 증가율이 마이너스가 되거나 환율이 폭등하지 않는 이상 올해 1인당 GNI 3만달러는 무난히 넘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 내가 보낸 영상이 SBS 뉴스로! 제보하기 '클릭'
☞ [아시안게임 특집 뉴스] 생생 경기 하이라이트 보러 가기!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