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10명 중 3명은 노후준비 못해
3일 국민연금연구원이 통계청 사회조사 자료를 인용해 발표한 노후준비 경향 보고서에 따르면 노후를 위해 경제적 준비를 하고 있는 국민 비율은 2007년 72.7%에서 지난해 73.2%로 10년새 0.5%포인트 늘었다. 이를 반대로 말하면 자신의 노후에 대비해 경제적 준비를 하지 않는 국민 비중이 10년째 약 30%에서 제자리걸음 중이라는 의미다.
그런데 60세 이후 고령자의 생활비를 누가 마련해야 하는가에 대한 응답으로 ‘본인 및 배우자’라고 답한 비율은 2011년 60.1%에서 2017년 69.9%로 6년새 10%포인트 가까이 늘었다. 즉 노후 준비를 스스로 해야 한다는 인식은 점점 강해지는데, 실제 준비 수준은 그만큼 발전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노후 준비가 이뤄지지 않는 이유는 연령대별로 달랐다. 19~29세는 ‘아직 생각하고 있지 않음’의 비율이 40.6%를 차지했다. 젊은 세대의 경우 노후의 삶을 먼 미래로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고, 학생·구직자 등 주머니 사정이 취약한 이가 상당수를 차지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반면 노년층 진입을 눈 앞에 둔 50~59세 가운데 노후 대비를 하지 않는 사람의 54.4%는 ‘준비능력 없음’을 이유로 꼽았다. 보고서를 작성한 송현주 국민연금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은퇴, 소득 감소, 자녀 결혼 등으로 노후 준비를 할 수 있는 경제적 여력이 부족한 집단"이라고 설명했다.
연령뿐 아니라 혼인 상태나 직종별로도 노후 준비를 하지 않는 이유는 차이를 보였다. 가령 사별이나 이혼으로 혼자가 된 이들은 ‘준비능력 없음’을 노후에 대비하지 않는 첫 번째 배경으로 꼽았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20년 이상 함께 산 부부의 황혼이혼 건수는 33만1000건으로 10년 전에 비해 32.5% 증가했다.
연령별 노후 준비를 하지 않는 이유 / 통계청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집단별 맞춤형 노후준비 유도책 펼쳐야"
전문가들은 한국의 고령화 속도가 매우 빠른 만큼 정부가 경각심을 갖고 10년째 70%대에 머물러 있는 우리 국민의 노후 준비 비율을 끌어올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통계청이 지난달 27일 발표한 ‘2017 인구주택 총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65세 이상 인구는 711만500명으로 전체 인구의 14.2%에 이른다. 유엔(UN)은 65세 인구 비중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이면 고령 사회로 분류한다. 한국은 2000년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이후 17년 만에 고령 사회로 접어들었다. 이는 24년이 걸린 일본보다 7년 빠른 속도다.
송 부연구위원은 "노후 준비를 인식하지 못하는 집단에는 홍보와 교육, 노후 준비 능력이 없는 집단에는 보험료 부담 완화 정책을 실시하는 식으로 맞춤형 접근을 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조언했다.
노후 준비 방식이 국민연금에만 쏠리는 현상도 경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번 국민연금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노후 준비를 하고 있는 이들 가운데 국민연금을 가장 선호한다고 답한 비율은 2007년 41.1%에서 2017년 57.0%로 크게 높아졌다.
같은 기간 사적연금에 대한 선호도는 16.2%에서 8.5%로 반토막이 났고, 예금·적금·저축성보험 등에 대한 선호도 역시 23.1%에서 15.5%로 크게 위축됐다. 부동산 투자를 통한 노후 대비를 선호한다고 답한 이도 10년새 6.9%에서 5.4%로 줄어들었다.
김동엽 미래에셋은퇴연구소 은퇴교육센터장은 "공적연금이 사적연금 등 여러 가지 수단과 조화를 이루면서 국민 노후 생활의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해주는 게 가장 이상적인 방향"이라며 "일회성 지급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은 퇴직금의 연금화 유도정책도 정부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준범 기자(bbeom@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