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갈등설 의식했나…金&張 "소득주도·혁신성장 같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회 예결특위서 한목소리 / 張 “소득주도성장 정책에서 / 최저임금 인상은 일부” 해명 주력 / “경제사령탑은 金부총리” 강조도 / 金은 ‘혁신성장’ 설명에 중점 / 張 ‘18만명 취업’ 가능성 묻자 /“10만∼15만명이 정상적” 답해 /“金 삼성방 앞 서 우려 전달"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이 22일 최근 갈등설을 의식하듯 경제정책에 한목소리를 냈다.

이날 국회 예산결산특위 전체회의에 나란히 출석한 김 부총리와 장 실장은 정부 경제정책 주요 기조인 소득주도성장과 혁신성장에 대해 동일한 메시지를 내려고 애쓰는 모습이었다. 장 실장은 “소득주도성장과 혁신성장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라고 말했으며, 김 부총리도 “소득주도성장과 혁신성장을 조화롭게 보고 같이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계일보

웃으며 대화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과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이 22일 국회 예산결산위원회 전체회의장에서 만나 웃으며 대화하고 있다. 허정호 선임기자


세계일보

장 실장은 ‘경제사령탑이 대체 누구냐’는 자유한국당 권성동 의원 질의에 “분명히 말씀드린다. 경제사령탑은 당연히 김 부총리”라고 답하기도 했다. 그는 “저는 청와대 정책실장을 맡은 이후로 장관 회의를 단 한 차례도 주재해 본 적이 없다”며 “지금 경제사령탑은 당연히 김 부총리”라고 재차 강조했다.

다만 장 실장은 이날 야권을 중심으로 퍼져 있는 소득주도성장 정책에 대한 ‘오해’를 해명하는 일에 주력해 혁신성장 설명에 중점을 둔 김 부총리와 차별되는 모습을 보였다. 장 실장은 “최저임금 인상은 소득주도성장 정책의 일부인데 직접 영향받는 분들이 구체적으로 밝혀져 있어 더 부각된 게 아닌가 생각한다”며 최저임금 인상이 소득주도성장의 전부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그는 “소득주도성장에는 가계소득을 늘려주는 정책, 가계지출을 줄여서 실질적인 소득을 늘려주는 정책, 사회안전망과 복지를 통해 삶의 질을 높이고 실질적 소득의 효과를 내는 정책 등 세 가지 축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중 가계소득을 늘리는 정책에 임금 근로자 정책과 자영업자 정책이 있는데, 임금 근로자 정책 중 최저임금 인상 대상은 300만명,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을 받는 사람은 230만명으로, 전체 소득을 늘리는 근로자로 봤을 때 10%”라며 “다른 정책은 시행 시간이 걸리고 아직 시행이 안 된 것도 있다”고 말했다.

세계일보

세계일보

22일 오후 서울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동연 경제부총리가 물을 마시고 있는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의 팔을 잡으며 인사를 청하고 있다. 허정호 선임기자


그는 ‘연말까지 취업자 수 증가 목표 18만명을 달성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생산가능 인구가 2년 전보다 20만명 줄어드는 상황에서 과거처럼 취업자 수가 전년 대비 20만~30만명 느는 것은 기대할 수 없다”며 “10만~15만명 정도가 정상적인 취업자 수 증가”라고 답했다.

최근 김 부총리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면담에 앞서 우려를 전달했느냐는 질의에는 “과거 정부에서처럼 정부가 기업을 방문하는 것이 (투자)압박으로 느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답했다.

김 부총리는 규제개혁이 혁신성장의 전부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그는 “저는 혁신성장의 개념을 규제개혁보다 크게 본다. 산업, 제도, 혁신인재를 (혁신성장의 요소로) 보고 있다”며 “규제혁신은 산업 부분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혁신성장을 위해서는) 생태계와 혁신 인프라, 거점 조성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부총리는 세간의 갈등설을 의식한 듯 이날 회의 도중 장 실장 자리를 찾아가 오른팔을 잡고 인사를 건네기도 했다. 장 실장도 자리에서 일어나 반가운 표정으로 김 부총리와 인사하는 장면을 연출했다.

홍주형 기자 jhh@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