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봉합국면 맞은 ‘김동연&장하성’… ‘완벽 팀워크’는 미지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통령 최후통첩 48시간만에 金 주도 경제 정책에 힘실려
靑, 소득주도성장론 출구 모색


파이낸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회서 만난 김&장 "웃고는 있지만…"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 첫번째)이 22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과 만나 인사한 후 자리로 향하고 있다. 사진=박범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제정책 노선을 놓고 파열음을 빚은 김동연·장하성 두 사람이 사흘만에 '갈등'에서 '봉합'국면으로 돌아섰다. 문재인 대통령이 두 사람을 겨냥, "고용 악화에 직을 걸라"(8월20일 수보회의)며 최후의 통첩을 날린지 약 48시간 만이다. 일단, 기존의 '투톱'체제였던 경제사령탑은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으로 교통정리되는 모양새다. 또 최저임금 인상·근로시간 단축 등 소득주도성장론 역시 김 부총리의 주장대로 정책 수정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가 표면적이나마 김동연 부총리에게 힘을 실어주는 제스쳐를 취함으로써 상처가 난 소득주도성장론의 출구를 모색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22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가 열린 국회 본회의장. 전날까지만 해도 갈등을 노출한 이른바 '김앤장' 두 사람은 예상을 뒤엎고, 소득주도성장과 혁신성장을 조화롭게 보고 같이 가야 한다. 한 쪽만 강조하는 흑백논리적인 접근을 개인적으로 안타깝게 생각한다"(김 부총리), "소득주도성장과 혁신성장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장 실장)면서 한목소리를 내는 모습을 연출했다. 양측은 각각 장 실장이 주도하고 있는 소득주도성장과 김 부총리가 맡은 혁신성장 정책이 같은 방향임을 강조하며 갈등 진화에 주력했다.

김 부총리는 "두 정책은 보완할 일로, 어느 하나만 가서는 안된다"며 "소득주도성장정책은 정부 내에서 세제 혜택 등 재정적 지원을 해야 하는 문제이고, 혁신성장정책은 규제완화 측면에서 법개정 등 제도적 측면에서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장하성 정책실장도 김 부총리와의 불화설에 대해 묻는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방법론과 정책 선택에 있어 의견차가 있는 경우도 분명히 있었다"고 '과거형'으로 답한 뒤 그러나 "토론을 거쳐서 정책을 선택 이후에는 김 부총리와 다른 방향으로 정책을 했다는 생각은 전혀 하지 않는다. 호흡을 잘 맞춰왔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또 "정책의 집행은 김 부총리를 중심으로 한 경제부처가 하는 일"이라고 말해 '정책 결정'은 같이 하더라도 향후 '정책 집행 책임'이 김 부총리에게 있다는 점을 넌지시 드러냈다.

장 실장은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는 소득주도성장에 대해 "최저임금 인상은 소득주도성장 정책의 일부인데 직접 영향받는 분들이 구체적으로 밝혀져 있어 더 부각된 게 아닌가 생각한다"며 최저임금 인상이 소득주도성장의 전부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소득주도성장에는 가계소득을 늘려주는 정책, 가계지출을 줄여서 실질적인 소득을 늘려주는 정책, 사회안전망과 복지를 통해 삶의 질을 높이고 실질적 소득의 효과를 내는 정책 등 세 가지 축이 있다"고 덧붙였다.

청와대는 연일 두 사람을 향해 "청와대와 기획재정부가 빛샐틈 없이 소통하고 있다"(김의겸 대변인 22일), "두 사람간 입장이 다르지 않다"는 등 지속적으로 봉합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냈다. 이날은 이낙연 국무총리까지 나서서 "미세한 차이이지 엇박자는 아니다"며 진화에 나서기도 했다.

극적인 봉합은 이뤄졌으나 양측이 문 대통령이 요구한 '완벽한 팀워크'를 이룰지는 미지수다. 두 사람이 불협화음을 해소해보자 만든 격주 정례회동은 지난 7월 첫 회의 후 이날까지 6주 넘게 열리지 않았으며, 지금도 날짜조차 잡지 못하고 있다.

ehcho@fnnews.com 조은효 박지애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