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문 대통령 지지율 취임후 최저치…민주당은 40%대 붕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문재인 대통령이 16일 오후 청와대 본관 인왕실에서 여야 5당 원내대표를 초청해 오찬을 하기에 앞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지지율이 취임 후 최저치인 55.6%를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6일 나왔다.

리얼미터가 tbs 의뢰로 지난 13∼14일 전국 성인남녀 10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 문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은 55.6%를 기록했다. ‘매우 잘함’은 27.3%, ‘잘하는 편’은 28.3%로 집계됐다. 이는 현 정부 출범이후 리얼미터 정례조사에서 최저치다.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 첫 여론조사(2017년 5월3주차)에서 기록한 81.6%와 비교하면 26.0%포인트가 하락했다.

문 대통령 지지율은 지난 주 발표한 주간집계 대비 대부분의 지역ㆍ계층에서 하락했다. 지역별로는 강원(15.0%포인트 하락), 호남(7.2%포인트 하락), 부산ㆍ경남ㆍ울산(6.2%포인트 하락)에서, 연령별로는 60대 이상(7.6%포인트 하락), 30대(3.8%포인트 하락), 50대(2.6%포인트 하락)가 주로 하락을 이끌었다.

직업별로는 노동직, 자영업에서 하락 폭이 컸다. 노동직은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급여 감소, 국민연금 보험료 인상 논란이, 자영업자는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인건비 증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들 직군에선 지지율도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를 앞섰다. 가정주부(5.1%포인트 하락)도 하락했다.

중앙일보

지난 3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 세종대왕상 앞에서 소상공인연합회가 '최저임금 재심의 거부 규탄 기자회견'을 열었다. 김민중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층(5.1%포인트 하락), 보수층(2.2%포인트 하락)에서 모두 지지율이 내려갔다.

반면 문 대통령 국정수행에 대한 부정평가는 39.1%(매우 잘못함 22.1%, 잘못하는 편 17.0%)로 집계됐다. 응답자 10명 중 4명 가량이 문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 부정적으로 답한 셈이다.

이같은 하락세에 대해 리얼미터는 “평양 남북정상회담 등 긍정적 보도가 이어졌으나, 문 대통령이 ‘사회적 합의없는 일방적 개편은 결코 없을 것’이라고 하기 전까지 확산하고 있었던 국민연금 개편 논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안희정 전 충남지사의 성폭행 사건 무죄 판결에 대한 여권의 소극적 대응도 불신감 상승으로 이어진 측면이 있다고 봤다.

중앙일보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난 14일 정부세종청사 복지부 기자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국민연금과 관련된 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관련 전문가들도 비슷하게 분석했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북한 관련 이슈는 6월 지방선거와 북ㆍ미 정상회담 때 효과를 많이 봤다”며 “반면 경제 현안과 개혁 이슈에 있어 가시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다 보니 지지율 누수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김형준(정치학) 명지대 교수는 “대통령 취임 후 1년 정도는 기대 심리가 작동하지만 이후에는 냉혹하게 성과를 요구하는 게 우리 국민”이라며 “경제지표에서 충족하지 못하면 이에 따라 피해를 보는 지지층부터 이탈하게 된다”고 분석했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율도 최저치를 기록했다. 진보층의 지지가 크게 이탈(7.3%포인트 하락)하며 지난주보다 3.6% 포인트 떨어진 37.0%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이었던 지난해 1월 4주차(34.5%) 이후 약 1년 7개월 만의 최저치다. 30%대로 떨어진 것은 집권 이후 처음이다. 민주당 지지율 하락은 네거티브 양상을 보이는 당대표 선거와 국회 특수활동비 폐지에 대한 당의 미온적 태도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리얼미터는 분석했다.

민주당이 집권 여당임에도 기대만큼 현안을 주도적으로 이끌지 못한다는 지적(유성진 이화여대 교수)도 나온다. 익명을 원한 한 정치학 교수는 “국민연금 논란은 보건복지부 탓이라고 하고 북한 석탄 위장 반입 문제는 야당 탓, 김경수 경남지사 수사는 특검 탓으로 돌리기만 급급하다”고 비판했다.

한편 자유한국당은 20.1%, 정의당 13.3%, 바른미래당 7.7%, 민주평화당 2.7%를 기록했다. 자세한 조사 개요와 결과는 리얼미터 홈페이지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현일훈ㆍ윤성민 기자 hyun.ilhoo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