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리스크관리 역량은 59%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16일 내놓은 '국내 건설기업의 해외 프로젝트 관리 역량 진단' 보고서에서 국내 5개사의 16개 기능 부문 해외 프로젝트 관리 역량을 평가했다.
조사는 지난 6월 18∼29일 10년 이상 원도급자 또는 프로젝트 관리자로서 해외사업 수행 경험을 보유하고, 해외사업 수주 비중이 높거나 성장하고 있는 대형 건설기업 5곳을 대상으로 시행됐다.
그 결과 자재관리(87%), 구매관리·품질관리(각 84%), 시공관리(82%), 원가관리(79%), SHE 관리(77%), 설계관리(76%), 공정관리(74%) 등 전통 업무이자 다수의 수행 경험을 보유한 분야는 비교적 높게 나왔다.
그러나 최근 중요성이 부각되는 분야인 클레임관리(55%), 리스크관리(59%), 통합관리(60%), 의사소통관리·사업기획관리(각 63%), 사업정보관리(65%), 범위관리(67%), 시운전관리(70%) 등은 해외 선진기업 수준에 크게 못 미쳤다.
프로젝트 관리 체계 측면에서 국내 기업은 절차나 전산시스템을 개발·보유하고 있지만, 기능 분야별 개발 수준의 범위와 심도가 크게 다른 것으로 파악됐다.
조직의 경우 해외사업 경험이 풍부한 인력이 반복적으로 현장 중심 업무에 투입됐다.
프로세스 단계별로 보면 사업 계획 시 프로젝트관리실행계획서(PEP) 등을 작성하고 있지만, 수행단계에서 계획과 실행의 불일치가 발생하는 일이 잦았다.
국내 대형 건설기업은 2010년 최대의 해외건설 수주 호황기를 누렸다.
하지만 2013∼2015년 수조 원대의 해외사업 손실을 경험했고, 이런 손실의 여파로 2015년부터 해외사업 수주액은 점차 감소해 2016∼2017년에는 300억 달러에도 못 미쳤다.
보고서는 우리 기업 해외사업에서 큰 손실을 본 이유에 대해 ▲ 저가 수주 ▲ 공기 지연 ▲ 다양한 발주 체계의 등장과 대처 미흡 ▲ 대형화·복잡화된 사업 특성 ▲ 세계 경제 악화 ▲ 유가 변동 ▲ 사업 리스크 저평가 ▲ 프로젝트 관리 능력 부족 등을 들었다.
이광표 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올해 국내 건설수주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우리 건설사들은 해외 프로젝트 수주로 먹거리를 확보해야 한다"며 "과거의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 통합관리, 리스크관리, 클레임관리 등 프로젝트 관리 분야에 대한 역량을 키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eun@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