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제주산악회 등반대장, ‘레닌봉’ 등정 중 사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제주산악회 회원들로 구성된 원정대가 도전하는 정상 등반 코스도. [사진 제주산악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아시아 파미르고원에 있는 7000m급 고봉 등정에 나섰던 제주산악회 등반대장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15일 대한산악연맹 제주도연맹의 한 관계자에 따르면 해발 7134m 높이 레닌봉 등정에 나선 제주산악회 원정대원 중 양찬우(44) 등반대장이 숨졌다.

대한산악연맹 제주도연맹 전문등반 이사인 양씨는 지난 13일 해발 5300m 캠프2 인근에서 이상 증세를 보였으며, 함께 갔던 대원 2명과 함께 하산하던 중 끝내 숨을 거둔 것으로 알려졌다.

양씨는 고소 적응에 실패한 것으로 추정됐다. 고소증은 일반적으로 산소가 희박한 해발 3000m에서부터 나타나는 피로, 두통, 호흡곤란, 식욕 부진, 부종, 무기력, 환각, 시력장애, 체온 저하 등의 각종 증상을 말한다. 심하면 폐에 물이 차는 폐부종이나 뇌에 물이 차는 뇌부종 등으로 사망한다.

제주산악회 원정대는 지난 5일 해발 3600m 지점에 베이스캠프를 설치하고 나서 해발 4400m, 해발 5300m, 해발 6100m, 해발 6400m에 차례로 캠프를 치고 오는 18∼22일 사이 정상에 도전할 계획이었다. 11명으로 구성된 제주산악회 원정대는 18일께 귀국할 예정이다.

레닌봉은 키르기스스탄과 타지키스탄 국경에 걸친 파미르고원에서 두 번째로 높은 산이다. 이스모일 소모니(해발 7495m) 봉이 발견되기 전까지 구소련에서 제일 높은 산이자 유럽 최고봉이었다.

중앙일보

제주산악회 회원들로 구성된 레닌봉 원정대가 지난 7월 21일 제주시 로베로호텔에서 발대식을 하고 나서 제주도산악연맹 관계자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주산악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