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삼성전자, 서울대와 산학협력…1000억 투자 인재육성·반도체 생태계 강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포츠서울

김기남 삼성전자 대표이사(오른쪽)와 박찬욱 서울대 총장 직무대리가 14일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에서 산학협력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식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제공 | 삼성전자


[스포츠서울 김민규기자]삼성전자가 14일 서울대에서 박찬욱 서울대 총장 직무대리와 김기남 삼성전자 대표이사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국내 반도체 분야 발전과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협약식을 가졌다.

삼성전자는 지난 8일 ‘경제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방안’ 발표를 통해 산학기금으로 1000억 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서울대를 시작으로 국내 주요 대학들과 산학 협력을 본격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국내 반도체 생태계의 질적 성장을 위한 토양을 마련하기 위해 이 분야의 국내 대학과의 연간 산학협력 투자를 대폭 확대하고 산학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전담 조직인 ‘산학협력센터’도 신설했다.

이번에 확대되는 국내 산학협력 분야는 크게 3가지로 ▲물리·수학·화학 등 기초과학 연구 지원 ▲반도체 분야 교수 채용 촉진·석/박사 장학금 확대 ▲ 반도체 분야 연구를 위한 삼성전자 첨단설비 인프라 무상 제공이다. 기존에 공대 중심으로 진행되던 산학협력 프로그램도 강화된다.

반도체는 AI(인공지능), 5G, IoT(사물인터넷) 등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는 ‘4차 산업 혁명’의 핵심 산업으로 기초과학부터 공학까지 다양한 분야의 인재가 필요하다.

하지만 연구성과 창출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데다 대학 내 반도체 관련 교수와 석·박사 과정에 진학하는 학생 수마저 매년 줄어들고 있어 전문성을 갖춘 우수 인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된다면 국가 기간 산업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반도체 산업의 미래도 흔들릴 수 밖에 없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이에 삼성전자는 이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대학의 연구 개발 환경을 개선하고 현장에 필요한 유능한 미래 인재를 육성하는 양질의 산학협력 생태계를 구축해 기술 한계 극복과 국가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김기남 삼성전자 대표이사(겸 DS부문장)는 “반도체 산업이 발전하려면 그 뿌리가 되는 대학의 학술 연구 활성화와 인재 양성을 지속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이 매우 중요하다”며 “산학협력 확대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과 반도체 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kmg@sportsseoul.com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