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충북 5개 군 사라진다'…5년 사이 '소멸위험' 가속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청주=뉴시스】인진연 기자 = 충북 5개 군의 '소멸위험'이 최근 5년 사이 더욱 가속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고용정보원이 13일 공개한 '한국의 지방소멸 2018 보고서'는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감소로 나타날 수 있는 지방소멸위험도를 분석한 뒤 이 같은 결과를 냈다. 2018.08.13 (사진=한국고용정보원 제공) photo@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청주=뉴시스】인진연 기자 = 충북 괴산군, 보은군, 단양군, 영동군, 옥천군 등 5개 군이 인구감소로 인한 '소멸위험'이 최근 5년 사이 더욱 가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고용정보원이 13일 공개한 '한국의 지방소멸 2018 보고서'는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감소로 나타날 수 있는 지방소멸위험도를 분석한 뒤 이 같은 결과를 냈다.

충북 11개 시·군 중 절반에 가까운 자치단체가 저출산·고령화로 인구가 줄어 사라질 위험에 직면한 셈이다.

고용정보원의 이상호 연구위원은 국가통계 포털의 주민등록인구통계를 활용해 2013~2018년 전국 228개 시군구와 3463개 읍면동의 소멸위험지수를 계산했다.

소멸위험지수는 한 지역의 20~39세 여성 인구 수를 해당 지역의 65세 이상 고령 인구 수로 나눈 값이다.

보고서는 소멸위험지수가 1.0 이하이면 쇠퇴위험단계 진입을 의미하고, 0.5 미만이면 소멸위험지역, 0.2보다 낮을 경우엔 소멸고위험 지역으로 분류했다.

가임여성 인구 수가 고령자 수의 절반이 안 되는 지역은 인구가 급속히 줄어 마을공동체가 사라질 위험이 커짐을 뜻한다.

분석 결과 충북의 소멸위험도 2013년 0.91에서 올해 0.73으로 쇠퇴위험단계를 넘어 소멸위험 지역으로 근접하고 있다.

뉴시스

【청주=뉴시스】인진연 기자 = 충북 5개 군의 '소멸위험'이 최근 5년 사이 더욱 가속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고용정보원이 13일 공개한 '한국의 지방소멸 2018 보고서'는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감소로 나타날 수 있는 지방소멸위험도를 분석한 뒤 이 같은 결과를 냈다. 2018.08.13 (사진=한국고용정보원 제공) photo@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국에서도 전남(0.47), 경북(0.55), 전북(0.58), 강원(0.58), 충남(0.67)에 이어 소멸위험도가 높았다.

소멸위험도가 높은 6개 시·도 중 최근 5년 사이 하락 폭은 충북이 가장 높아 소멸위험이 가속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도내 지자체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소멸고위험 지역(소멸위험지수 0.2이하)을 앞둔 곳이 괴산군(0.219), 보은군(0.227), 단양군(0.268), 영동군(0.287), 옥천군(0.302) 등 무려 5곳에 달했다.

전국 228개 시군구 중에서도 소멸위험 지역은 2013년 75개(32.9%)에서 2018년 89개(39%)로 14개(6.1%) 증가했다.

이 연구위원은 "최근 지방 제조업의 위기는 지역의 산업기반 붕괴와 지방의 인구유출을 더욱 가속했다"며 "지역균형발전 정책의 획기적인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inphoto@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