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날짜 빠진 정상회담 합의 왜?…조명균 "北 일정 감안해 협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통일부 공동취재단, 권다희 기자] [the300]조명균 "초청하는 北 입장 중요, 8월말은 아냐"

머니투데이

【파주=뉴시스】 사진공동취재단 = 13일 경기도 파주시 판문점 남측 자유의집에서 조명균 통일부 장관이 고위급회담의 결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018.08.13. photo@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3일 남북 고위급회담에 우리측 수석대표로 참석한 조명균 통일부 장관이 "북측 일정을 감안해 구체적인 (정상회담) 날짜는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통일부에 따르면 조명균 장관은 이날 판문점 통일각에서 열린 고위급회담 종결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3차 정상회담 날짜가 구체적으로 발표되지 않은 데 대해 이 같이 말했다. 당초 남북이 이날 중 3차 정상회담 일정을 확정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됐으나, 전망과 다르게 '9월안에 평양'이란 내용만이 공동보도문에 담겼다.

조 장관은 "아무래도 이번 가을 정상회담은 지난번 판문점 선언에서 합의된대로 북측 지역 평양가서 하는 것인 만큼 초청하는 북측의 입장이 어떤가가 상당히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런 부분에서 일단 가급적 빨리하자는 방향에서 논의 됐지만 북측의 일정 상황들 감안할때 9월안에 평양에서 하기로 하고 구체적인 건 날짜는 여러가지 좀 더 상황을 보면서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고 부연했다.

이어 공동합의문에 명시된 '9월 안'이란 표현이 북측의 요청이냐는 질문에는 "북측 요청이라고 표현하기보다는 초청하는 북측 일정이나 상황을 감안해서 양측간 합의된 표현"이라고 덧붙였다.

조 장관은 우리측에서 염두한 날짜가 있냐는 질문에는 "구체적으로 우리 생각을 말씀드리는 건 적절치 않다"며 "여러가지 남북간 논의한 사항이 있고 또 정상차원에서 남북관계를 획기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 논의될 사항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반도 평화, 비핵화 문제 그런 측면에서도 양 정상간에 논의할 사항이 있다"며 "빠른 시일 내에 이런 생각을 갖고 북측과 협의해서 9월 안에 한다면 적절하겠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8월말 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서는 "현실적으로 아니"라고도 밝혔다.

또 조 장관은 날짜가 잠정적으로 나와있다고 한 북측 수석대표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의 발언에 대해 "구체적인 날짜와 관련해서는 협의해 나가야 한다는 정도만 말씀드리겠다"고 했다.

잠정적 날짜는 없다고 보면 되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이 이어지자 다시한번 "협의해 나가야 한다"고만 답했다.

9월 초쯤을 염두하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그렇게까지 말하긴 이르다. 조금만 더 기다려달라"며 "8월이 절반도 안 지났고 그런 과정에서 날짜가 좀 더 드러나고 준비하는 거 보면 알수 있다"고 말했다.

9월 유엔총회 염두하고 합의가 이뤄진 것이냔 질문에도 "구체적으로 연결해서 설명드릴 상황은 아니"라고 즉답을 피했다.

리선권 위원장이 종결회의 모두발언에서 "예상치 않은 문제가 난항을 겪을 수도 있다"고 한 데 대해서 조 장관은 "일반적인 입장을 다시 한번 강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남북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70분간 전체회의를 열었다. 이후 우리측 수석대표 조명균 장관과 북측 대표 리선권 위원장 등 양측 수석대표가 오전 11시 45분부터 30분간 접촉했다.

이후 수석대표는 오후 12시 35분부터 12시 44분까지, 오후 1시 4분부터 1시5분까지 2차 접촉을 했다. 오후 1시 26분 종결회의를 시작해 공동보도문 낭독 없이 속전속결로 회담을 종결했다.

통일부 공동취재단, 권다희 기자 dawn27@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