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하동군]독립운동가 정의용·김금석, 광복 73년만 정부포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3·1만세운동에 가담해 옥고를 치른 경남 하동군 고전면 출신 정의용씨(1888∼1956)와 전남 화순출신 김금석씨(1891~?)가 광복 73년 만에 정부포상을 받는다.

13일 하동군에 따르면 정재상 경남독립운동연구소장은 2009년과 2018년 2월 대전 국가기록원과 하동군 고전면사무소 문서고 등에서 고전면 3·1만세운동에 참여한 정의용씨 등 3명과 광주 부동교 3·1만세운동에 가담해 옥고를 치른 김금석씨 등 48명의 ‘판결문’과 ‘수형인명부’를 발굴해 정부에 포상을 청원했다. 하동군은 이에 따라 지난해까지 12명이 국가유공자로 인정받은 데 이어 이번에 2명의 독립운동가가 추가로 공적을 인정받아 각각 대통령표창 추서와 함께 국가유공자로 인정받는다고 밝혔다.

이번에 정부포상을 받는 정의용씨(당시 31세)는 고전면 성천리 출신으로 고전면 주교(배다리) 3·1만세운동에 참여했다. 정 씨는 1919년 4월 고전면 주교 장날을 이용해 같은 마을의 박영묵·이종인·정상정·정재기 등 33인과 함께 일신단을 조직하고 4월 6일 주교리 장터에서 1000여 명의 장꾼과 함께 독립만세운동을 펼쳤다. 정 씨는 이 같은 일로 만세운동 다음날인 7일 성천리 지소마을에서 일본경찰에 체포돼 부산지방법원 진주지청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태형 90도를 받아 고초를 겪었다.

경향신문

광주 3·1운동에 가담한 김금석씨(당시 28세)는 당시 광주제중원(병원) 남자 간호사로 활동했다. 김 씨는 전남 화순군 남면 사평리 출신으로 1919년 3월 10일 오후 3시쯤 광주 부동교(광주 동구 불로동과 남구 사동을 잇는 다리) 아래 작은 장터에서 김강·김철·최병준·최한영 등과 숭일학교·수피아여학교·광주농업학교 교사 및 학생 주민 1500여 명이 모여 독립만세운동을 펼쳤다. 이 일로 주동자 김강·김철·홍순남(경남 하동?수피아여학교 학생) 등 가담자 대부분이 체포됐다. 이때 김씨도 체포돼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4개월 형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재상 소장은 “고전면 3·1만세운동 가담자 발굴은 김희곤 자문위원과 함께 노력했으나 아직도 미포상자가 2명이 있고 광주 3·1독립운동가는 33인이나 미포상 상태”라며 “정부에서는 조속한 조사를 통해 이분들에 대한 국가의 합당한 예우가 있어야 할 것이다”이라고 말했다.

<김정훈 기자 jhkim@kyunghyang.com>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
[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