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김광렬씨가 촬영한 군함도 전경.(행정안전부 제공) /사진=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유네스코((UNESCO·국제연합 교육과학문화기구) 세계유산 등재를 방패 삼아 어두운 과거 역사 지우기에 나서는 일본의 민낯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최근 ‘제2의 군함도’로 불리는 사도광산은 니가타현 사도시를 중심으로 세계유산으로 추천됐다가 일본 정부 문화심의회가 정한 조몬 유적지(신석기 유적지)에 밀려 추천 등재에 실패했다.
사도광산은 1989년 채굴을 중단할 때까지 일본 내 최대 금 산출지였다. 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 전쟁포로의 강제노역에 대해 사죄한 미쓰비시머티리얼의 전신 미쓰비시광업이 소유했던 광산이다. 우리 정부는 사도광산에 강제 동원된 조선인 근로자가 최소 14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강제 동원이라는 어두운 역사적 흠결을 가지고 있는데도, 일본 사도시는 사도광산을 광산 개발 역사와 기계화 이전 생산실태를 알 수 있는 시설 등을 이유로 내세워 유네스코 등재를 추진한 셈이다. 사도시 측은 한국 정부의 반대 의견에도 등재 추진을 계속 시도할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이미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일본 하시마(일명 군함도)는 등재 당시 약속한 ‘조선인 강제 노역’ 설명을 이행하지 않아 최근 다시 도마에 올랐다. 일본은 2015년 7월 독일에서 열린 ‘제39차 세계유산위원회 총회’에서 “희생자를 기억하는 적절한 조치를 포함할 것”이라고 국제사회에 약속했었다.
하지만 3년이 지난 지금 ‘조선인 강제 노동’에 대한 설명이나 정보 센터는 설치돼 있지 않아 ‘과거 역사’를 ‘관광 이미지’로 덮고 있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이 지역은 전 기간에 걸쳐 보여주라는 유네스코의 권고를 무시하고 1850~1910년까지만 임의적으로 잘라 보여주며 일본 역사에 유리한 측면만 소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 유산의 조건인 ‘탁월한 보편적 가치’가 아닌 역사적 인과관계조차 무시하는 일본의 ‘역사 지우기’는 한국이 시도하는 등재 기록물에 대한 방해로도 이어진다.
서울시와 서울대 인권센터가 찾아낸 한국인 일본군 위안부의 존재를 증명할 영상자료 모습.(서울시 제공) /사진=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해 한국이 위안부 피해자 관련 기록물을 세계유산에 등재하려는 시도를 저지한 것이 대표적 사례. 일본은 유네스코 집행이사회 규정을 바꿀 것을 요구하는 등 집요하게 압박을 가한 끝에 기록물 등재 시도가 수포로 돌아갔다.
일본 정부는 또 유네스코(UNESCO)에 대해서도 “정치적 편향성을 띠고 있다”며 불만을 노골적으로 표시했다. 지난 2015년 난징대학살 관련 자료가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등재되자 이에 반발해 분담금 납부를 거부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일본이 자국의 ‘세탁된’ 과거 역사를 세계문화유산에 올리느라 힘을 쏟으면서 과거 관련국의 기록물 등재 추진에는 적극적으로 반발하는 등 ‘협공’을 노리고 있다고 지적한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세계유산에 등재되면 해외에서도 관광객이 많이 찾아온다"며 "이를 통해 어두운 과거사를 덮으려는 일본의 꼼수"라고 말했다.
서 교수는 "현재 군함도에는 '강제노역'이라는 단어가 적힌 안내판이 하나도 없다. 사도광산도 똑같은 시도일 것"이라며 "등재되기 전 민관이 합동해 사전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고금평 기자 danny@mt.co.kr, 황희정 기자 hhj2609@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