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5 (금)

서방 외신 지국장이 본 평양 “70층 고층 아파트 등 비약적 변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에릭 탤매지 AP통신 평양 지국장 일본 문예춘추 기고

아주경제

평양 시내에 세워진 고층 빌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평양 주재 서방 외신기자가 북한의 변화를 소개해 주목된다.

에릭 탤매지 AP통신 평양 지국장은 일본 문예춘추 최신호에 북한이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탤미지 지국장은 2012년 이후 평양에 상주하고 있다.

AP통신은 2011년 평양지국 개설 승인을 받았다.

황경춘 AP통신 전 지국장이 탤매지 지국장의 글을 ‘자유칼럼’에 요약 게재해 소개한다.

외국인들이 ‘평해턴’ 혹은 ‘리틀 두바이’라고도 부르는 평양의 청전거리와 만수대 거리는 고층건물이 늘어선 곳으로 김정은 위원장 집권 뒤 1 년도 되기 전에 완성됐다.

48층 아파트 세 채에 20~36층 건물이 15동으로 합계 3000가구가 넘는다.

대동강변에 2015년 건설된 ‘미래 과학자’ 거리는 핵무기를 개발하는 원자력 과학자를 위해 건설된 지역으로 6차선의 중심 거리 끝에 원자 모양을 한 형상이 세워져 있다.

많은 문화 시설이 있는 이 지역은 김책종합공업대학과도 관계가 있는 가운데 교수와 직원들도 거주하고 있다.

이 고급 주택지역은 중국의 투자자금이 주도했고 주변 부동산 시장이 확대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완성된 여명 거리는 김 위원장이 지금까지 계획한 프로젝트 중 가장 야심적인 곳으로 규모가 미래 과학자 거리를 능가한다.

여명 거리에는 40동의 신축 아파트와 33동의 재건축 아파트, 35동 이상의 공공시설이 있다.

70층의 아파트는 북한 최고층 아파트지만 인근의 김일성, 김정일 부자 유해가 안치된 금수산 태양궁전을 고려해 층수를 제한했다는 설이 있다.

탤매지 지국장은 핵개발에 막대한 자금이 필요한 가운데, 대형 건설계획을 진행할 수 있었던 것은 많은 수의 ‘군인 건설작업원’ 동원이 가능했던 점을 들었다.

정부 최우선 프로젝트의 경우 무임 노동력을 이용할 수 있었다.

이 경우 우선적으로 자원도 전용되고 계획경제의 덕택으로 재료도 염가로 제공됐다.

또 중국의 투자와 함께 지하 경제를 통해 북한 경제가 점차 활성화되고 있는 점도 원인이다.

북한의 시장경제화는 1994~1998년 ‘고난의 행군’ 시대에 사회주의 계획경제에 균열이 생기면서 속도를 내기 시작해 이제는 유연한 경제 상황이 만들어졌다.

이러한 변화의 배경에 크게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중국이다.

중국 북동부에 다수가 살고 있는 조선족 중소기업인에게 북한은 매력 있는 시장으로 이들이 북한 사회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이 탤매지 지국장의 설명이다.

중국의 영세기업가들이 북한인에 비즈니스 정신이나 돈벌이 방법을 가르쳐주고 있다는 것이다.

탤미지 지국장은 “북한 국내에서는 조용히 시장 경제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북한의 내부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지 않고 북한을 위압해 핵무기 폐기와 더욱 민주적이고 시장경제적인 방침을 강요한다면, 예상외의 결과만 나을 수 있다”며 “완전한 역효과가 날 가능성까지도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시장경제화에는 어느 정도의 민주화와 투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법의 지배가 필요해진다. 북한의 미디어는 김 위원장의 외교정책을 찬양하면서 최근 자본주의적 가치관에 대한 공격을 강하게 하고 있다”며 “이는 가까운 장래에 중국이나 베트남 모델 등 경제개혁 모델을 수입할 의지가 없다는 뜻을 자국민과 세계에 대해 알리는 것“이라고 밝혔다.

탤매지 지국장은 “트럼프 대통령과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북한을 한국처럼 재건하기 위해 미국의 기업인을 대거 북한으로 보내겠다고 약속했지만 외국으로부터의 투자를 받아들이는 ‘과도하게 큰 대상’을 생각하면 이는 북한 정권에 꿈과 같은 밝은 이야기가 아니고 오히려 털이 솟구칠 악몽”이라며 “이것은 현 지배체제가 끝나는 것을 의미해 이를 최고의 ’포상‘으로 북한에 강요하면 양국 관계가 심각한 문제에 부딪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한선 기자 griffin@ajunews.com

이한선 griffin@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