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디지털 금융 등 현안 쌓여있는데… 금융권 '멘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금융권 옥죄기에 '불안감 표출'

내부감사 자율규제와 반하는 제도

이중삼중 중복검사 배제할 수 없어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유현욱 기자] “올 것이 왔다.” 금융회사를 대상으로 ‘전쟁’을 선포한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이 종합검사제도 부활을 골자로 한 금융감독혁신 방안을 발표하자 금융권은 극도의 불안감을 표출하고 있다. 대부분 잔뜩 주눅이 든 목소리로 한 달 가까이 종합검사를 받다 보면 장기경영전략뿐 아니라 일상적인 영업활동이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윤 원장이 전일 취임 이후 가진 첫 기자간담회에서 다시 끄집어낸 종합검사에 금융사들은 업권을 가리지 않고 울상이다. 우선 수검기간이 늘어난 데 따른 자료제출 요구로 가욋일이 몇 배나 늘어날지 가늠조차 할 수 없다고 한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주52 시간 근무를 장려하는 사회 분위기로 모처럼 야근이 줄고 있는데 금감원 종합검사 때는 야근은 물론 밤샘도 불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털어놓았다. 이어 “종합검사를 나오기 전에도 사전자료를 요청하고 종합검사가 끝나고도 후속자료를 요청한다”며 “각종 요청에 치이다 보면 원래 해야 할 일에 상대적으로 소홀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이중삼중 중복검사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다. 또 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각종 테마검사나 부문검사에서 지적됐던 부분을 종합검사 때 다시 들여다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특정 금융회사의 경우 일년 내내 감사에 시달릴 수 있는 셈이다. 이에 내부 감사기구와 협의를 통해 자율규제를 유도해온 최근 감사 트렌드에 반하는 규제라는 지적이 따른다.

현재 이뤄지는 부문별 검사와 달리 종합검사에는 매머드급 인력을 파견하는 점도 부담스럽다. 한 금융사는 일찌감치 금감원 검사 인력이 상주할 사무실을 어디로 둘지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전례에 비춰보면 약 20명 이상 검사인력이 한달여간 해당 금융회사에 상주한다. 이들은 보안 등을 이유로 금융사 직원들과 독립된 공간을 사용하는 게 불가피하다. 이 때문에 당장 한두 개 층은 몽땅 내줘야 할지 모른다는 얘기도 나온다.

한 금융사 임원은 “윤 원장이 내놓은 금융감독혁신 방안은 규제 완화보다 금융사를 옥죄는데 초점을 맞춘 걸로 보인다”며 “4차산업혁명, 디지털 금융, 글로벌 진출 등 현안이 산적한데도 금감원의 종합검사 부활은 과거정책으로 회귀하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