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디스플레이 너마저 … 중국 저가 공세에 LG·삼성도 휘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비상 걸린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

LGD, 2분기 2600억대 손실 볼 듯

삼성D도 영업이익 크게 줄어들어

‘LGD 지분가치 0’ 투자평가도 나와

한국 투톱 LCD → 올레드로 전환 중

중국에 대형패널 기술도 바짝 쫓겨

중앙일보

중국의 공세에 국내 주요 디스플레이 업체 실적이 곤두박질치고 있다. 사진은 LG전자가 지난해 두바이 ‘두바이몰’에 설치한 세계 최대 크기(가로 50mx세로 14m)인 ‘올레드 사이니지’.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계 정상에 서 있는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이 흔들리고 있다.

중국의 ‘디스플레이 굴기(?起)’에 발목이 잡힌 영향이다. 지난해 역대 최고 실적을 올렸지만, 올해는 실적이 곤두박질 치고 있다. 증권업계는 LG디스플레이가 2분기 2670억원의 손실을 볼 것으로 예상한다. 지난 1분기 6년 만에 영업손실(-983억원)을 입은 후 하락 폭이 커지고 있다. 이런 와중에 유진투자증권은 9일 “LG전자가 보유(지분율 37.9%)한 LG디스플레이 지분을 LG전자의 기업가치 산정에서 제외한다”는 내용의 투자보고서까지 내놨다. LG디스플레이의 지분 가치를 ‘0’으로 보겠다는 것이다. 지난달엔 지분가치를 2조6790억원이라고 평가했다.

아직 손실을 보지는 않았지만, 삼성디스플레이도 분위기가 좋지 않다. 2분기 영업이익은 1000억 원에 그칠 전망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1조7000억 원을 벌었다.

중국의 영향이 크다. 중국은 액정표시장치(LCD) 산업을 국가 산업으로 지정하고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이미 면적 기준으로 세계 LCD 시장 점유율 34.9%를 차지해 한국(27.4%)을 앞섰다. 지난해 LCD 패널 세계 1위 업체로 등극한 중국 BOE를 비롯해 중국 HKC, 대만 AU 등이 제품 가격을 확 낮추면서 LCD 가격은 하락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위츠뷰에 따르면 지난해 210달러(약 23만원)까지 올랐던 TV용 LCD 패널 평균 가격은 지난달 말 177.3달러(약 19만원)로 하락했다.

LG디스플레이와 삼성디스플레이는 LCD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올레드)로 사업 구조를 바꾸고 있지만, 아직 매출에서 LCD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중앙일보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LG디스플레이는 매출의 90%를 LCD로 번다. 올레드 중심으로 변모하기 위해 올해 9조 원을 시설 투자에 쓸 계획이지만, 미처 대비하기도 전에 중국의 직격탄을 맞았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전체 매출에서 LCD가 차지하는 비중이 30% 수준이다. LG디스플레이보다는 사정이 낫지만, 타격을 피할 수는 없다.

문제는 앞으로도 별반 나아질 것 같지 않다는 것이다. 중국이 기술 공세까지 퍼붓고 있어서다. BOE는 연말 세계 최초로 10.5세대 대형 LCD 양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그나마 한국이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대형 LCD 패널까지 공략하겠다는 것이다.

결국 올레드 시장에 집중해야 하지만, 사정이 만만찮다. 삼성전자·애플에 모바일용 중소형 올레드 패널을 납품하며 세계 중소형 올레드 패널 점유율 97%의 독점체제를 구축한 삼성디스플레이도 스마트폰 시장이 정체기에 접어들며 먹구름이 끼었다.

애플 아이폰X와 삼성전자 갤럭시S9의 판매량이 예상보다 저조해 소형 올레드 주문량도 덩달아 줄었다. 여기에 삼성디스플레이는 중대형 올레드 패널 시장에선 입지가 좁다. 올레드 대신 LCD 기반의 QLED에 집중한 탓이다. 올레드 사업을 확대할 기반이 마땅찮은 것이다.

LG디스플레이는 대형 올레드 패널에 집중하며 차별화를 꾀했지만, 아직 전체 매출의 10% 수준에 머물러 있다. 한상범 LG디스플레이 부회장은 지난 1월 기자 간담회에서 “10% 수준인 올레드 매출 비중을 2020년까지 40%로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올레드는 LCD보다 같은 물량을 팔아도 남는 것이 적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인 IHS 마킷에 따르면 초고화질(UHD·3820X2160화소) 올레드 TV 패널(55인치)의 제조원가(지난해 4분기 기준)는 대당 평균 538달러(약 57만8000원)다. 같은 사양의 LCD 패널 원가(227달러·약 25만2000원)의 2.4배 수준이다.

이연규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산업정책실장은 “올레드는 구부리고 접을 수 있는 유일한 패널인 만큼 이를 활용해 중국이 따라올 수 없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현주 기자 chj80@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