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종 정책사회부 차장 |
오늘은 탐정 A가 주인공인 추리소설을 써볼까 한다.
“제가 ‘그들’이라면 억울할 것 같아요. 이름 앞에 ‘살인자’라고 붙어 있으니 말이에요.”
A가 최근 만난 정부 관계자는 혀를 끌끌 찼다. 누가 살인을 하지 않았는데도 이런 어마어마한 누명을 썼단 말인가. A는 ‘그들’을 찾아 나섰다. 첫 번째 억울한 누명을 쓴 이는 ‘살인개미’로 널리 알려진 ‘붉은불개미’다.
최근 부산항과 평택항, 인천항 등 항구마다 난리가 났다. 살인개미가 잇따라 발견되면서 정부가 방역작업을 하느라 진땀을 빼고 있다. 3∼6mm에 불과한 붉은불개미는 어쩌다 ‘살인개미’가 됐을까? 곤충 전문가의 설명이다.
“꼬리 부분의 날카로운 침을 보세요. 찔리면 불에 덴 것처럼 통증이 와요. 침에는 염기성 유기화합물인 솔레놉신, 독성물질인 포스폴리파아제, 히알루로니다아제 등이 섞여 있어요.”
그렇다면 살인개미가 맞지 않는가. 하지만 A는 ‘곤충독성보고서’를 들춰보는 순간 고개를 갸웃했다. 꿀벌의 독성을 1로 볼 때 붉은불개미는 1.2에 불과하다. 말벌과 비교하면 5분의 1 수준이다. 말벌이라면 모를까 붉은불개미를 살인자라고 부르긴 찜찜하다.
‘미국에선 한 해에 100여 명이 붉은불개미에게 물려 사망한다’는 기사도 오류투성이였다. 정확한 통계는 북미에서 70여 년간 붉은불개미에게 물려 사망한 사람은 80여 명이다. 하지만 이들도 100% 붉은불개미 때문에 숨졌는지 확실하지 않다. 평소 곤충 독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이 물리면 급성 쇼크로 사망할 수 있다.
결국 ‘살인개미’는 누명에 가깝다. 이때 “나도 억울하다”며 ‘살인진드기’가 A를 찾아왔다. 최근 국내에선 한 70대가 ‘살인진드기’로 불리는 ‘작은소참진드기’에게 물려 사망했다. 참진드기가 범인인지 확인하기 위해 질병관리본부 감염병감시과를 찾았다.
살인진드기는 자체 독성을 가진 개미와 다르다. 하지만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다. 2013년부터 올해 5월까지 참진드기에게 물린 SFTS 환자 625명 중 134명이 사망했다. 참진드기에게 10명이 물리면 2명꼴로 사망한 셈이다.
A는 참진드기를 찾아가 “너는 살인범”이라고 외쳤다. 참진드기는 억울해했다. “나에게 물려 죽은 사람들은 대부분 혼수상태 등 증상이 심해진 뒤에야 병원에 갔기 때문이에요. 물려도 고열과 복통 등 초기 증상이 있을 때 병원을 찾으면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통해 대체로 회복돼요. 그래도 제가 ‘살인진드기’란 말이에요?”
한참을 고민한 A는 죽을 수 있음을 알면서도 사람을 문 살인진드기에겐 ‘미필적 고의’가 있다고 결론 내렸다.
언어의 각인효과는 매우 크다. 곤충 이름에 ‘살인’을 남발하면 괜한 공포심을 키울 수 있다. 최근 공포영화의 주인공이 된 두 곤충 사례를 보더라도 과학적 사실을 토대로 한 작명(作名)이 얼마나 중요한지 새삼 일깨워준다. 섣부른 공포는 과잉 대응을 낳는다.
김윤종 정책사회부 차장 zozo@donga.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