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중국, 무역전쟁 벌이는 미국에 자국민 관광 제한할 수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주중 美상의 전 의장 "中, 미국 제품 소비 중단 등 다양한 보복 가능" 美 진출 중국 기업, 투자 줄이고 본국으로 송금 늘려

연합뉴스

백악관, 美中 무역전쟁에 "중국이 더 잃을 게 많아"



(홍콩=연합뉴스) 안승섭 특파원 = 중국이 무역전쟁을 벌이는 미국에 대해 '사드 보복'과 같은 관광객 제한 조처를 할 수도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1일 보도했다.

제임스 짐머맨 전 주중 미국상공회의소 의장은 SCMP에 "중국은 은밀하면서도 미국에 타격을 가할 수 있는 여러 수단을 쓸 것"이라며 "중국 기업과 소비자가 미국과 거래관계를 끊도록 하거나, 미국 제품 소비를 중단하도록 하는 것도 그 수단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과의 불화로 중국 정부의 물품 조달에서 유럽 기업들이 이미 반사이익을 얻고 있으며, 일부 미국 기업은 무역 갈등을 우려해 중국 외 다른 나라로 투자를 다원화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기업이 미국에 투자한 것보다 미국 기업이 중국에 투자한 액수가 훨씬 더 많은 만큼 이런 기조는 미국에 상당한 타격을 줄 수 있다.

짐머맨 전 의장은 "중국은 미국 기업의 투자나 거래에 대한 승인을 늦출 수도 있다"며 "퀄컴의 NXP 인수 승인에서 알 수 있듯 미 기업의 투자 등이 '정치적인 축구공'처럼 차이는 신세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2016년 10월 퀄컴은 440억 달러(약 48조원) 규모의 네덜란드 반도체업체 NXP 인수를 선언했으며 이후 미국, 일본 등 9개 관련국 중 8개국 승인을 받았다. 하지만 아직 중국 당국의 승인 발표는 나지 않았다.

그는 "중국은 막대한 해외 관광객이 쓰는 돈을 미국이 아닌 다른 우호적인 나라들로 돌릴 수도 있다"며 "이는 외교적 긴장 관계에 놓였던 한국이나 필리핀에 대해 중국이 이미 취했던 조치"라고 말했다.

이는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의 한국 배치 후 중국 정부가 자국 관광객의 한국 여행을 제한하고, 중국 소비자들이 한국 제품 불매 운동을 벌여 한국에 경제적 타격을 입힌 것을 말한다.

짐머맨 전 의장은 "(미국과 중국) 양국이 벼랑 끝 정책을 계속 편다면 시장에 큰 타격을 줄 수 있고, 불확실성이 걷히기 전까지 기업들이 투자를 미루는 결과를 빚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미국에 진출한 중국 기업들은 미국 투자를 줄이고 본국으로 이익을 송금하는 사례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에 진출한 1천500여 개 기업을 회원사로 거느린 중국상업연합회(CGCC)가 최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회원사 가운데 75%가 이익 전부나 대부분을 미국에 재투자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조사의 87%보다 12%포인트 낮아진 것이다.

22%의 기업들은 이익 전부나 대부분을 중국으로 송금했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해의 9%보다 두 배 이상 높아진 것이다.

컨설팅업체 로디움 그룹이 집계한 결과에서도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5개월간 중국의 대미투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2% 급감한 18억 달러에 그쳤다.

주미 중국 대사관은 "우리는 무역 관계에 있어 불확실성과 심각한 도전에 직면했다"며 "이 때문에 중국 기업들은 혼란에 빠져 있으며, 이러한 상황이 이어진다면 대미투자를 줄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ssahn@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