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文대통령 “남북 평화체제 땐 동북아 다자 협력체제로 발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北 구체적 비핵화 방안 제시하고
美 상응하는 포괄 조치 실천해야”
서울신문

러시아 언론과 인터뷰하는 文대통령 - 문재인 대통령이 러시아 국빈 방문을 하루 앞둔 20일 청와대에서 타스통신 등 러시아 언론과 합동 인터뷰를 하고 있다. 오른쪽은 합동 인터뷰의 질문자를 맡은 미하일 구스만 타스통신 제1부사장 겸 편집총국장. 청와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20일 “남북 평화체제가 구축되면 중장기적으로는 동북아 전체의 다자 평화안보 협력체제로 발전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러시아 국빈방문을 하루 앞둔 이날 공영 타스통신 등 러시아 언론과의 합동 인터뷰에서 이렇게 밝힌 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나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에 대해 같은 목표가 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을 간절히 기원했는데, 기대 이상으로 대성공을 거뒀다”며 “북·미 간 적대적 관계를 청산하고 새로운 평화체제로 나아가는 역사적 대전환을 이뤘다”고 평가했다. 이어 “북한은 완전한 비핵화를 약속했고, 미국은 북한의 안전 보장을 약속했다. 남은 과제는 훌륭한 합의를 완전하고 신속하게 실천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북한은 더욱더 구체적 비핵화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고, 미국은 상응하는 포괄적 조치들을 신속하게 제시하면서 함께 실천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남북 정상회담에서) 긴 시간 허심탄회한 대화를 나눴고, 합의도 많이 이뤄냈지만 합의서에 담지 않은 많은 부분도 서로 공감했다”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체제를 보장받을 수 있다면 기꺼이 핵을 내려놓고 경제발전에 전력을 쏟겠다는 의지를 보였다”고 했다. 또한 “아주 젊은 나이인데도 상당히 솔직담백하고 침착한 면모를 보였다. 연장자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예의 바른 모습도 보였다”고 김 위원장을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체제가 구축되면 남북 경제협력 시대가 열릴 텐데, 남·북·러 3각 협력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