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지방선거 당선인들 中企 공약 들여다보니 '규모의 정책' 눈길… 1조대 벤처펀드 등 조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박원순시장, 산·학·연 사업
서울형 벤처 5000개 육성


파이낸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6·13 지방선거가 중소·벤처기업과 소상공인들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최근 중기·벤처에 대한 지역별, 산업별 맞춤형 정책이 중요해 졌기 때문이다.

20일 중기업계에 따르면 이번 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출신 광역단체장이 전체 17개 선거구 중 14곳에서 당선되면서 지역별 유기적 중기·벤처 육성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먼저 눈길을 끄는 것은 '규모의 정책'이다. 중기업계 덩치를 키우고 막대한 정책 자금을 약속한 후보들이 당선됐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스마트시티 서울'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창업 벤처단지'와 1조2000억원 규모의 창업 벤처펀드 조성을 약속했다. 총 2000억원 규모의 산·학·연 연구개발사업도 지원할 계획이다. '서울형 벤처기업' 5000개도 육성한다. 박남춘 인천시장 당선인은 1조원 규모 중소기업 육성자금을 약속했다. 또 청년 창업 활성화를 위한 창업 시스템도 구축할 예정이다.

핀테크 기술을 접목한 '골목경제 살리기' 정책도 나왔다. 이재명 경기도지사 당선인은 '지역 화폐' 도입을 약속했다. 이 당선인은 성남시장 재임 시절 지역화폐인 '성남사랑상품권'을 도입한 바 있다. 당시 성남사랑상품권 회수율은 98%에 달했다. 김경수 경남도지사 당선인도 경남페이(K-Pay)를 도입할 계획이다. 경남과 서울시는 경남페이와 서울페이를 공동개발하기 위한 정책협약도 맺었다. 민주당 광역단체장 간 정책 콜라보가 진행된 것이다. 김 당선인은 경남소상인사랑 상품권도 발행한다.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업계는 광역단체 당선인들이 내놓은 정책들에 기대감을 보이면서도 세밀한 보완 장치를 요구했다.

최승재 소상공인연합회장은 "지역화폐를 통한 소상공인 살리기 정책은 의미가 있다"면서도 "지역화폐의 적용 범위가 소상공인업계로 한정되고 신용카드를 대체할 확실한 강점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최 회장은 "지역화폐 사용자에 대한 정확한 통계와 분석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벤처기업협회 관계자는 "광역단체장들의 벤처기업 활성화 공약을 환영한다"면서도 "현재 지방정부 차원의 지방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로드맵은 다소 미흡한 실정으로 지자체별 전담부서를 확충하고 독자적인 지방벤처생태계를 구축해 수도권에 편중된 벤처 산업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중소기업중앙회 관계자는 수도권 광역단체 당선인들의 공약에 대해 "수도권은 전체 기업의 50%가 몰려있는 곳"이라며 "수도권 광역단체장들의 중기 육성 정책이 제대로 실현된다면 중소기업 중심의 새로운 경제 구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juyong@fnnews.com 송주용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