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금정굴 평화공원 이번엔…민선7기 고양시·의회 “적극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고양시 지자체 중 유일하게 지원조례 제정 못해

이재준 시장 당선자 “과거사위 제시한 조건 수행”

유족들 “유해 안치할 조그마한 공원 조성해달라”

시민사회 “분묘문화재 지정해 후세 교훈 남겨야”



한겨레

18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청 대강당에서 열린 금정굴 토론회에서 채봉화 금정굴유족회장이 금정굴 평화공원 조성을 촉구하고 있다. 박경만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금정굴 평화공원 조성을 둘러싸고 20년 넘게 갈등을 겪어온 경기도 고양시와 시의회가 민선 7기 출범을 앞두고 적극적인 해결 의지를 밝혀, 학살사건 발생 68년 만에 유해가 현장에 영구 안치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금정굴에서는 1995년 최소 153명에 해당하는 유골이 발굴됐으나, 이들 희생자의 유해는 23년째 병원 창고와 납골당 등을 떠돌고 있다.

이재준 고양시장 당선자는 지난 18일 비영리단체인 ‘통일을 이루는 사람들’ 주최로 열린 ‘금정굴, 화해를 넘어 통일의 길로’ 토론회에 참석해 “국가폭력과 전쟁범죄에 대해 이제는 사과하고 해결할 때가 됐다고 생각한다. 월남 참전과 제주 4·3에 대해서도 국가가 이미 반성을 했다”고 말했다. 그는 “더구나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가 금정굴 추모비 건립 등 여러 가지 조건들을 제시했고 그것을 성실히 수행해야 할 책무가 기초자치단체장에 있다. 철저히 검토해서 민선 7기에서는 반드시 해결하고 넘어가겠다”고 밝혔다.

토론에 나선 이윤승 더불어민주당 고양시의원 당선자는 “한반도가 평화의 시대로 가고 있고, 평화의 중심에 고양시가 있다. 고양시에서부터 대립·갈등을 뛰어넘어 화해·상생의 시대로 나가야 한다”며 “8대 의회가 개원하면 금정굴 관련 조례부터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한겨레

18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청 대강당에서 ‘분단의 비극 금정굴, 화해를 넘어 통일의 길로’ 토론회가 진행되고 있다. 박경만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신기철 금정굴인권평화연구소장은 ‘금정굴 사건의 진실’이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금정굴 희생자들은 학교 선생님과 마을지도자 등 대부분 좌·우 이념과 상관없는 사람들이었다”며 “돌아가신 분들이 어떤 사람들이었는지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권명애 고양시민사회연대회의 공동대표는 “진실화해위 권고 이후 여러 번 해결할 기회가 있었는데 복잡한 지역 상황 때문에 번번이 기회를 놓쳤다. 노근리처럼 금정굴은 전쟁범죄의 명백한 증거인 집단 무덤인 만큼 분묘 문화재로 지정해 후세에 교훈으로 남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금정굴 사건은 2007년 진실화해위가 ‘한국전쟁 당시 국가가 저지른 불법 학살’로 진실규명 결정을 내리고 유해 안치, 추모비 건립, 평화공원 조성 등 후속 조처를 권고했다. 하지만 그동안 고양시는 단체장의 의지·역량 부족, 보수단체의 완강한 반대에 따른 고양시의회의 반대 등으로 ‘6.25전쟁 민간인 희생자 지원 등에 관한 조례’를 추진한 지자체 중 유일하게 아직 조례를 제정하지 못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광역 지자체 14곳과 기초 지자체 43곳이 이미 관련 조례를 제정했다.

채봉화 금정굴유족회장은 “많은 것을 바라지 않는다. 유족들이 더 돌아가기 전에 희생자들의 유해를 안치할 조그마한 공원 하나 만들어줬으면 소원이 없겠다”고 말했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한겨레

18일 오후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청 대강당에서 열린 금정굴 토론회를 마친 뒤 참석자들이 금정굴 평화공원을 조성하자는 결의를 다지고 있다. 박경만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신문구독]
[사람과 동물을 잇다 : 애니멀피플] [카카오톡]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