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ESF2018]스퀘어 창업자 "기업가, 모방불가 제품을 만드는 사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제9회 이데일리 전략포럼

‘디지털 신세계,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매켈비 "스퀘어, 결제 문제서 시작‥끊임없이 도전"

"최근에는 언론에 관심…조회수와 수익 불일치 문제"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경계영 이광수 기자] “기업가(entrepreneur)는 기존 시스템을 떠나 새로운 것을 발명하고, 모방할 수 없는 것을 만드는 사람입니다. 눈보라 치는 날 운전하는 것처럼 앞이 전혀 보이지 않고 다른 사람에게서 솔루션을 찾을 수 없는 상황도 극복해야 합니다.”

모바일 결제 서비스 기업 ‘스퀘어(Square)’ 창업자 짐 매켈비 대표는 19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9회 세계전략포럼에서 ‘혁신 기업의 디지털 리더십’이란 주제로 강연하면서 기업가를 이같이 정의했다.

매켈비 대표는 스퀘어와 론치코드(LaunchCode)를 포함한 스타트업을 창업할 때 자신이 발견한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는 데서 시작했다고 강조했다. 창업해야겠다는 일념이나 혁신이라는 거창한 주제에서 시작한 것이 아니었다는 얘기다.

실제 스퀘어는 유리 공예 아티스트였던 그가 고객의 신용카드를 결제할 단말기가 없어 작품을 팔지 못한 데서 시작됐다. 그는 “문제의식을 갖고 만든 시스템은 기존의 것과 달랐다”며 “미국에서 스퀘어를 시작하면서 걸려있는 법만 17개에 달했고 결국 일부 법을 위반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론치코드 역시 그의 고향인 미국 세인트루이스시에서 스퀘어를 운영하면서 발생한 문제에서 출발했다. 당시 스퀘어는 엔지니어를 스카우트하려 했지만, 세인트루이스의 인력이 부족하다 보니 해당 기업에서 인력을 빼가는 기업이란 항의를 받기 일쑤였다. 이런 문제에 부닥친 그는 교육받은 사람을 취업시키는 것이 아니라 경험이 전혀 없는 사람이라도 일단 취업시킨 다음 교육받도록 했다. 고용 과정을 거꾸로 뒤집는 방식으로 해법을 모색한 것이다.

론치코드는 생산성이 높은 사람과 함께 일할 수 있도록 일종의 견습제도를 도입하고, 마이애미 데이드 대학의 시설이라는 하드웨어에 하버드대학의 교육과정이라는 소프트웨어를 접목하는 운용의 묘를 발휘했다. 발상 전환은 대성공으로 이어졌다.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의 수료율이 1%에서 50%로 상승했고, 이들이 받는 임금이 300% 넘게 오른 데다 90% 이상이 고용 상태가 유지됐다.

매켈비는 지금도 도전을 멈추지 않고 있다. 최근 관심을 둔 곳은 언론사업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제품이 성공하면 제품 가격이 오르지만 이와 반대로 미국 언론은 성공하면 돈을 덜 버는 문제에 주목했다.

그는 “하나의 기사를 100명, 1000명, 그리고 점차 더 많은 사람이 읽으면 굉장히 높은 광고료를 받을 수 있지만, 독자가 일정 수준을 넘어가면 추가적으로 받는 광고료가 거의 100분의 1로 떨어진다”며 “조회 수가 높은 콘텐츠를 만들어도 경제적 효익이 없다 보니 콘텐츠 질이 떨어진다”고 봤다.

매켈비 대표는 “콘텐츠를 만들면 사람들이 읽고, 광고도 함께 봐서 광고주가 콘텐츠 제작자에게 보상하는 시스템이 수백년 동안 유지됐는데 온라인으로 가면서 해당 수익의 70%가 사라졌다”면서 “수익을 잠식한 주범을 없애고 사람과 콘텐츠를 직접 연결하면 이 같은 콘텐츠 질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예닐곱번 창업했지만 (나도) 새로 프로젝트를 시작할 땐 성공 여부를 알 수 없다”면서 창업 과정에서 두려움이 엄습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설명했다. 창업가는 검증되지 않은 문제 해결 방법을 찾아야 하고 다른 사람의 해법을 모방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를 극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열심히 노력하더라도 반복적으로 실패할 수 있다는 점을 받아들이는 게 기업가 정신”이라면서 창업 도전을 독려했다. 이어 “론치코드 프로그램이 성공을 거둔 뒤 오바마 정부 시절 백악관의 초대와 1000만달러 투자를 받았다”는 사례를 소개하며 성공의 열매는 달콤하다고 덧붙였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