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주열 "통화정책 완화 정도의 추가 조정 필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현재 잠재성장률 수준 성장세 지속"

"올해 4분기 물가 오름세 높아질 것"

통화정책 방향 언급서 '신중히' 빠져

"금리인상 방향 더 명확해져" 평가도

"취업자 수, 당초 전망 수준 밑돌듯"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김정남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9일 추후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 “완화 정도의 추가 조정이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서울 중구 세종대로 한은 본점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성장세가 잠재성장률 수준을 이어가고 물가 상승률이 목표 수준(2.0%)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될 경우”를 전제하며 이렇게 말했다.

이 총재는 “올해 들어 고용이 부진하고 일부 신흥국의 금융 불안이 지속되고 있으며 글로벌 교역 환경도 악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여러가지 어려움이 많다”면서도 “최근 발표되는 산업활동동향이나 (한은 자체적인) 모니터링 결과 등을 감안해 보면 우리 경제는 소비와 수출을 중심으로 현재 잠재수준의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진단했다.

그는 그러면서 “지난 4월의 전망 경로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을 것”이라며 올해 3%대 성장률을 전망했다.

이 총재는 또 “물가를 중요하게 보고 있다”며 “지금은 물가가 목표 수준을 밑돌고 있지만, 올해 하반기, 특히 4분기로 가면 물가 오름세는 지금보다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의 언급은 추후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방향이 조금 더 명확해진 것이라는 평가가 일각에서 나온다. 이 총재는 일주일 전인 지난 12일 창립 68주년 기념사에서 “완화 정도의 추가 조정 여부를 신중히 판단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신중히’라는 표현이 빠진 것이다.

금융시장은 올해 한은이 한 차례 정도 인상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가 쏠리는 가운데 그 시기는 좀처럼 가늠하지 못하고 있다. 이르면 7월 소수의견 이후 8월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고, 10월 혹은 11월은 돼야 올릴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도 많다. 올해 인상 자체가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도 일부 있다.

이 총재는 “통화정책 운영 상황이 녹록지 않은 게 사실”이라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 속도가 빨라진다고 하니 자본 유출에 대한 우려가 부쩍 높아져 있다”고도 했다.

이 총재는 최근 ‘고용 쇼크’ 탓에 당초 취업자수 증가 규모 전망치(26만명 내외)의 하향 수정을 시사하기도 했다.

그는 “5월 중 취업자 수 증가 규모가 10만명에 미치지 못한 상황”이라며 “자동차와 서비스업 등의 업황 부진과 일부 제조업의 구조조정 영향이 당초 예상보다 컸던데 주로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5월까지 고용 실적이 당초 예상에 미치지 못했기 때문에 올해 중 취업자 수 증가 규모는 4월 전망치를 밑돌 것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