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더 커진 한·미 금리 격차…한은 고민도 커졌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 기준금리 10년 만에 2%대로

9월과 12월 두차례 더 인상 예고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제때 선제적 대응하지 못하면

자본 유출과 국내 경제 악영향

이주열 총재 “신흥국 불안 주시”


미국이 14일 또다시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지난 3월에 이어 올해만 두 번째로, 한·미 금리 역전 폭은 0.50%포인트까지 확대됐다.

양국 간 금리 격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면 자금 유출이 불가피하고 증시·환율 등 우리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문제는 기준금리를 인상하기엔 한국경제 체력이 불확실하다는 점이다. 물가와 경기가 모두 예상보다 부진하고 가계부채는 1500조원에 육박한다. 시장에서는 오는 9월 예고된 미국의 세 번째 금리 인상을 전후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이래저래 한은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이날 새벽(한국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1.75~2.00%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한국(연 1.50%)보다 최고 0.50%포인트 높다.

정부는 미국의 높은 금리를 좇아 국내 자금이 급격히 빠져나가는 일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며 “1∼2번 금리 인상으로 자본 유출이 촉발되지 않는다. 자본 유출을 결정하는 다른 요소가 많다”고 말했다. 자본 유출이 대외건전성, 환율 등에서도 영향을 받는다는 의미다. 실제 지난 3월 미 연준의 금리 인상으로 한·미 기준금리가 10년여 만에 역전됐을 때도 자본 유출은 없었다. 이 총재는 “다만, 최근 일부 신흥국의 금융 불안에 대해 주의 깊게 봐야 한다”고 했다. 최근 외국인 자본 이탈과 이에 따른 증시 충격으로 대외건전성이 불안한 아르헨티나·브라질·터키 등 신흥국이 이번 금리 인상으로 금융불안이 악화하면 우리 시중금리도 영향을 받아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한은을 비롯해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등은 이날 관계기관 회의를 열어 신흥국 금융불안의 확산 가능성과 시중금리 상승으로 인한 불안 요인 등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연준은 올해 기준금리 인상 횟수 전망을 당초 3회에서 4회로 조정했다. 미국은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7%에서 2.8%로 상향 조정하고, 실업률 전망치도 3.8%에서 3.6%로 낮추는 등 자국 경제 전망에 대한 자신감이 넘쳐난다. 이럴 경우 미 기준금리 상단은 최소 2.50%까지 치솟게 된다.

만약 미 연준이 예고대로 9월과 12월에 잇따라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한은도 더는 버티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현 기준금리를 고집할 경우 미국과의 금리 차는 최고 1.0%포인트까지 벌어진다. 한은이 선제적 대응을 하지 않고, 뒤늦게 금리를 올리면 실기를 할 우려도 있다. 국내 금융시장에는 불안감이 반영되기 시작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45.35포인트(1.84%) 내린 2423.48에 장을 마쳤다.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5.9원 오른(원화 약세) 1083.1원에 거래를 마쳤다.

시장에서는 한은이 이르면 8월에는 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외환건전성이 높다는 점에서 4분기 인상을 점치는 시각도 있다. 이창선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국내 경기와 고용 등 경제지표의 개선 여부에 따라 인상 시점을 결정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안광호 기자 ahn7874@kyunghyang.com>

[경향비즈 바로가기], 경향비즈 SNS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