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동아시아 영토·영해 분쟁

대만 싱크탱크, 中 위협에 '남중국해 미군기지 조성' 주장(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타이핑다오 미군에 빌려줘 중국에 대항케 해야"

중국, 우디 섬 배치했던 미사일 철수…"일시적 조치" 가능성

연합뉴스

대만 싱크탱크, 中 위협에 '南중국해 미군기지 조성해야'
(타이중<臺中, 대만> AFP=연합뉴스) 대만의 한 싱크탱크는 대만이 남중국해에 실효 지배하고 있는 타이핑다오(太平島·영문명 이투 아바) 일부를 미국에 임대, 이곳에 미군 기지를 세우게 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대만 넥스트매거진이 7일 보도했다. 이 싱크탱크는 "타이핑다오를 미군에 임대하면 미국은 남중국해에 군사적 거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며, 대만도 타이핑다오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는 데 있어 간접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사진은 이날 대만 중부 타이중 소재 공군기지의 연례 '한광(漢光)' 군사훈련에 UH-60 블랙호크 헬기가 참가 중인 모습. bulls@yna.co.kr



연합뉴스

中 이어 대만도 남중국해 군사기지화…타이핑다오에 방공타워
(홍콩=연합뉴스) 최현석 특파원 = 영유권 분쟁해역인 남중국해에서 중국이 인공섬을 구축해 군사기지화 작업을 벌이는 가운데 대만이 실질 점거 중인 타이핑다오(太平島·영문명 이투 아바)에서도 방공타워로 추정되는 건축물이 포착됐다고 중국시보(中國時報) 등 현지 언론이 20일 보도했다. 사진은 남중국해 타이핑다오에서 포착된 방공타워 추정 건축물. 2016.9.20 [대만 중국시보 캡처=연합뉴스] harrison@yna.co.kr



(홍콩=연합뉴스) 안승섭 특파원 = 중국과의 갈등이 고조하는 대만에서 남중국해 섬을 미국에 빌려줘 미군 기지를 세우게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대만 넥스트매거진이 7일 보도했다.

이들 매체에 따르면 대만의 한 싱크탱크는 대만이 남중국해에 실효 지배하고 있는 타이핑다오(太平島·영문명 이투 아바) 일부를 미국에 임대해 이곳에 미군 기지를 세우게 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남중국해는 석유와 가스 등 천연자원이 대량 매장돼 있고, 연간 해상물동량도 3조4천억 달러에 이르는 전략적 해상 요충지다. 중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남중국해 주변 국가들은 자원 영유권 등을 놓고 분쟁을 이어가고 있다.

타이핑다오는 남중국해 스프래틀리 제도(중국명 난사<南沙>군도)에서 가장 큰 암초로, 대만군은 이곳에 40㎜ 고사포, 120㎜ 박격포, AT-4 대전차 로켓 등을 배치해 군사 기지화했다.

이 싱크탱크는 "타이핑다오에 미군 기지가 조성되면 긴급구조 등 인도주의적인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는 남중국해에서 중국과 긴장 관계에 있는 미국과 대만 모두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타이핑다오를 미군에 임대하면 미국은 남중국해에 군사적 거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며, 대만도 타이핑다오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는 데 있어 간접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중국이 남중국해 영유권을 주장하면서 이 일대 섬에 군사시설을 짓고 비행훈련을 강화하자, 이에 맞선 미국은 군함을 잇달아 파견해 남중국해가 모든 나라가 공통으로 쓸 수 있는 공해(公海)라는 점을 강조하는 '항행의 자유' 작전을 펼치고 있다.

이 싱크탱크는 자신들의 주장이 많은 대만 고위 장성의 지지를 얻고 있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臺 싱크탱크, 中 위협에 '南중국해 미군기지 조성해야'
(타이중<臺中, 대만> AFP=연합뉴스) 대만의 한 싱크탱크는 대만이 남중국해에 실효 지배하고 있는 타이핑다오(太平島·영문명 이투 아바) 일부를 미국에 임대, 이곳에 미군 기지를 세우게 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대만 넥스트매거진이 7일 보도했다. 이 싱크탱크는 "타이핑다오를 미군에 임대하면 미국은 남중국해에 군사적 거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며, 대만도 타이핑다오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는 데 있어 간접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사진은 이날 대만 중부 타이중 소재 공군기지에서 중국의 침공을 가상한 연례 '한광(漢光)' 군사훈련에 패트리엇 지대공 미사일 MIM-104 시스템 발사대들이 배치된 모습. bulls@yna.co.kr



하지만 남중국해 미군 기지 조성이 주변 정세를 악화시킬 것이라는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다.

한 대만군 소식통은 "이러한 조처는 남중국해의 갈등을 더욱 악화시키고 대만을 위험하게 할 것"이라며 "이러한 생각이 처음 나온 것도 아니며, 대만 국방부의 지지를 얻지도 못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소식통에 따르면 2016년 5월 차이잉원(蔡英文) 대만 총통이 취임한 후 이러한 주장이 제기됐으나, 당시 대만 국방부장(장관)은 이를 단호하게 거부했다.

독립 성향의 차이 총통 취임 후 중국은 대만 인근에서 대규모 실전훈련을 하는 등 군사적 압박을 강화하고 있으며, 대만은 이에 맞서 미국과의 정치적, 군사적 유대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한편 CNN에 따르면 이스라엘 위성 감시업체 '이미지 새틀라이트 인터내셔널'(ISI)이 지난 3일 촬영된 위성 사진을 판독한 결과 중국이 남중국해 우디 섬(융싱다오(<永興島>)에 배치했던 지대공 미사일을 철수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고조되는 남중국해에서 미국과의 갈등을 완화하기 위해 내려진 조치로 볼 수 있으나, 영구 철수가 아닌 일시적인 철수일 가능성도 크다고 CNN는 전했다.

실제로 중국은 2016년 2월 '훙치(紅旗·HQ)-9' 미사일을 우디 섬에 배치했다가 같은 해 7월 철수했으나, 수개월 후 이를 재배치했다. 우디 섬은 파라셀 군도(중국명 시사<西沙>군도) 내 최대 섬이다.

우디 섬에 배치된 '훙치-9 미사일은 사거리 200km의 지대공 미사일로, 미국 항공모함 전단에서 발진한 전투기를 위협하고 날아오는 미사일도 요격할 수 있다.

ssahn@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