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사상 최초 남북통일의학사전 만든다..의료협력 물꼬 튼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평양과기대 의대 학생들이 치과 진료 수업을 받고 있다.(자료: 남북보건의료교육재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상 처음으로 남북통일의학용어사전을 만든다. 우리나라 남북보건의료교육재단이 만들어 평양과기대 종합병원에 배포한다. 상이한 의학용어를 통일해 남북 의료 교류 가교 역할을 한다. 남북 공동 의료협력과 학술연구도 이뤄질 전망이다.

남북보건의료교육재단은 2020년까지 남북의학용어사전을 편찬한다고 28일 밝혔다. 국내 탈북 의료인은 물론 북한 의료계에도 배포해 남북 의료 용어 표준화를 시도한다.

남북의학용어사전은 진단·수술·재활 등 의료 과정에서 남북한이 사용하는 의학용어를 국제표준에 맞춰 표준화한다. 우리나라는 국가 의학교육 고시에 나온 의학용어사전을 기준으로 한다. 북한 공식 의학용어사전을 활용한다. 탈북 의사도 편찬위원에 참여한다.

사전은 남북보건의료교육재단과 고려대민족문화연구원이 편찬한다. 고려대민족문화연구원은 한중사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한중학습사전 등 사전편찬 경험이 있다. 재단은 사전 편찬위원 구성을 마무리했다. 우리나라 의사, 사전편찬 경험자, 탈북 의료인 등 10여명으로 위원을 구성했다. 탈북의료인 국내에서 의사·간호사로 활동한다. 고려대 통일의학협동과정 학생도 있다.

재단은 2015년 발족 후 북한 의료·교육 지원 사업을 수행했다. △평양과기대 의학부 설립과 운영지원 △우리나라 종합병원과 북한 인민병원 결연 추진 △감염병 퇴치 △의료 물품과 교육 지원 등이 대표적이다. 열악한 북한 의료 환경을 위해 교육·의료 서비스 등 지원이 필요하지만 상이한 용어가 걸림돌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에서는 '급사'라고 표기하는 것을 북한에서는 '갑작죽음'이라 한다.

김영훈 남북보건의료교육재단 운영위원장(고대안암병원 교수)은 “북한 의과대학생 교육 지원 시 사용하는 의료 용어가 달라서 효과가 적다”면서 “열악한 북한 의료 수준을 높이기 위해 용어 통일이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하반기 사전 편찬을 착수한다. 2020년 초 배포한다. 문서 기반 사전과 웹,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다양한 기기로도 보는 디지털 버전도 만든다.

적용대상은 우선 탈북 의료인이다. 1998년부터 2016년까지 우리나라 의사 국가시험에 응시한 탈북의료인은 91명이다. 의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은 24명에 불과하다. 상이한 용어체계로 비롯된 격차로 의사를 포기하는 경우도 많다.

정부 지원으로 북한 내 배포도 추진한다. 재단은 운영과 교육을 맡는 평양과기대 김만유종합병원에 우선 배포한다. 권혁도 남북보건의료교육재단 사무국장은 “평양과기대 부총장이 재단 이사로 활동하는데다 꾸준히 김만유종합병원과 네트워크를 유지해 북한 현지 배포도 어렵지 않을 것”이라면서 “사상 처음으로 사전이 개발되면 통일부 등 정부지원을 요청해 국내 탈북 의사와 북한 현지 의대생, 의사 등이 쉽게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전자신문

평양과기대 의과대학 학생이 실습 수업을 하고 있다.(자료: 남북보건의료교육재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보건계량평가연구소(UHME)에 따르면 2015년 기준 북한 주민 의료접근성은 195개 국가 가운데 101위를 기록했다. 1인당 의료비 지출은 134달러(약 14만원)로 우리나라(약 305만원) 4%에 불과하다. 영유아 사망률은 1000명당 26.2명으로 심각하다.

남북의학용어사전은 열악한 북한 의료 수준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북한 의사교육, 의료 체계 전수, 의료 시스템 구축 등 기반이 된다. 김 위원장은 “인도주의 지원을 포함해 북한 전염병이나 질병은 우리나라에도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는 만큼 북한 보건의료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면서 “남북의학용어사전은 북한 보건의료 이해와 지원에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자신문 CIOBIZ] 정용철 의료/바이오 전문기자 jungyc@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