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김희경의 내 인생의 책]③몽테뉴 수상록 - 미셸 에켐 드 몽테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살기 위해 읽으시라

경향신문

<수상록>은 추상적 사색보다 몽테뉴의 깨알 같은 경험과 자유로운 생각으로 가득한 책이다. “나는 나 자신을 연구한다. 이것이 나의 형이상학이고 나의 물리학”이라고 선언한 사람답게 몽테뉴는 자신의 이야기로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각자의 인간적 모습을 들여다볼 수 있게 한 최초의 인간이다.

그는 보르도 고등법원 심의관으로 일하다 38세에 퇴직한 뒤 20년간 이 책을 썼다. “인간에게 일어나는 일 중 비인간적인 것은 없기 때문”에 사람이 겪는 거의 모든 일을 소재로 삼았다. 슬픔, 공포심, 우정, 줏대 없음, 술주정, 심지어 자신의 용모와 방귀에 이르기까지 수다스럽다고 할 정도로 써댔다.

“새로운 형태의 즉흥 철학자”를 자처하며 그는 당대 철학자들과 달리 인간이 얼마나 쉽게 광기에 휩싸이고 한심한 존재들인지를 아무렇지도 않게 말하고 인간의 조건과 화해하기를 권유한다. “세상에서 가장 높은 옥좌에 올라도 결국 자기 엉덩이로 앉아 있을 따름”이라며 자기 존재를 충실히 누리는 것이 최상의 삶이라고 강조한다. 읽다보면 ‘내 얘기 같다’ 싶은 대목이 숱하다.

16세기는 종교의 이름을 앞세운 전란의 시대였지만 몽테뉴는 확실성을 찾아 초월적 세계를 헤매는 대신 발 디딘 현실에 집중했다. ‘나는 무엇을 아는가’라는 질문을 품은 회의주의자였으며 넘치는 호기심으로 여행과 관찰, 글쓰기를 즐겼다.

한동안 침대 옆에 두고 매일 밤 아무 갈피나 펼쳐 읽던 책이다. 소설가 귀스타브 플로베르가 권한 이 책 사용법을 나도 권하고 싶다. “재미를 찾는 어린아이처럼 읽지 마라. 야심 찬 사람처럼 교훈을 얻으려고 하지도 마라. 그 책은 ‘살기 위해서’ 읽어라.”

<김희경 | 문화체육관광부 차관보>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
[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