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7 (금)

[팩트체크] 풍계리 핵실험장 폭파하면 방사능 유출?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JTBC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선중앙TV (지난 12일) : 핵시험장 폐기를 투명성 있게 보여주기 위하여 국내 언론기관들은 물론 국제기자단의 현지 취재활동을 허용할 용의가 있다. 중국, 러시아, 미국, 영국, 남조선에서 오는 기자들로 한정시킨다.]

[앵커]

북한이 다음주 풍계리 핵실험장을 폭파합니다. 이를 앞두고 여러 정보들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핵실험장을 폭파하면 방사능이 터져나온다', '폭파한 뒤에 핵물질을 모아서 다시 무기를 만들 수 있다' < 팩트체크 >에서 확인을 했습니다.

오대영 기자, 갱도를 모두 폭파시키겠다는 것이잖아요.



[기자]

함경북도 풍계리에서 확인된 갱도는 4개입니다.

이가운데 1번, 2번은 6차례 핵실험을 한 곳입니다.

그리고 3, 4번은 핵실험에 쓰이지 않았습니다.

북측은 이 4개를 모두 폭파시키기로 하고, 우리를 비롯한 언론들을 23일에서 25일 초청을 했습니다.

[앵커]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매우 중요한 절차가 될것 같은데, 정확하지 않은 정보들이 지금 계속 퍼지고 있는 것이잖아요. 하나씩 좀 볼까요?

[기자]

첫 번째는 이 내용입니다. "함부로 폭파를 시키다가 자칫 방사능 물질이 외부로 터져나올 수 있다" 라는 것입니다.

오늘(14일) 한 언론이 보도한 내용입니다.

[앵커]

폭파를 하면 실험장 안에 있는 핵 물질이 새어 나올 수도 있을 것 같은데, 실제로는 어떻습니까?

[기자]

전문가의 분석으로 들어보시죠.

[이춘근/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그건 좀 황당하죠. 6차 핵실험할 때 위력이 제일 컸어요. 그런데 같은 갱도 내에 이미 무너진 곳이지만, 2번, 3번, 4번, 5번 실험한 기폭실이 그대로 있었잖아요. 그런데 거기서 방사능 유출됐어요? 안 됐죠.]

가장 규모가 컸던 6차례 중에서 6차 핵실험 때 방사성 물질의 유출이 확인이 되지 않았습니다.

이번 폭파는 그 핵실험의 대략 1/250 수준으로 예상 됩니다.

[앵커]

그만큼 과학적으로는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얘기일텐데, 두 번째는 어떤 내용입니까?

[기자]

'폭파를 하고도 핵물질을 재활용할 수 있다' 이런 얘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 11일 한 언론에서 보도했습니다. "약간만 처리하면 언제든 탄두로 다시 쓸 수 있다"라는 내용입니다.

[앵커]

비핵화를 선언하고 핵시설까지 폭파를 했는데, 그 핵물질을 다시 긁어서 모아서 쓴다면 좀 문제가 클 것 같은데, 가능한 얘기입니까?

[기자]

전문가의 얘기로 들어보시죠.

[서범경/한국원자력연구원 해체기술연구부장 : 제가 보는 관점에선 불가능한 것 같고요. 핵무기 자체가 농축도가 굉장히 높기 때문에 상당 부분 많이 반응은 할 거고요. 그걸 모아서 분리를 한다는 것 자체가, 불순물을 다 제거하고 빼내고 굉장히 복잡한 공정이 될 겁니다. 그게 결국 재처리거든요. 불가능할 것 같습니다.]

지하 갱도에서 폭발이 일어나면 방사성 물질의 온도가 수천 만도 까지 올라갔다가 떨어집니다.

이 과정에서 남은 핵물질이 돌처럼 굳습니다.

이런 상태가 된 우라늄이나 플루토늄을 재활용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앵커]

재활용 하는 것은 어렵다, 그럼, 마지막은 어떤 내용인가요?

[기자]

오늘 한 언론 보도 했습니다.

"지하수를 통해서 방사성 물질이 유출될 수도 있다" 라는 내용인데요.

하지만 전문가의 설명과는 차이가 있는 보도였습니다. 들어보시죠.

[황용수/한국원자력연구원 박사 : 플루토늄이나 그런 것들은 금속 성분이거든요. 그런데 암반은 표면이 주로 약음이온 입니다. 흡착을 한다는 건데요. 지하수 유출이 되면 그 핵종들이 녹아서 나와야 되는데, 그게 그렇게 빨리 나오기는 힘들 겁니다.]

[앵커]

그리고 또 이번에 북한이 전문가는 빼고 기자만 초청했다, 그래서 '쇼'에 그칠 것이다라는 비판도 있었잖아요.

[기자]

전문가 참석 여부는 아직까지는 확정된 바가 없습니다.

저희가 오늘 취재한 전문가들은 과학적 관점에서 본다면, 이게 사후 검증이 가능하기 때문에 '반드시 폭파할 때 참관할 필요는 없다'라고 말했습니다.

향후에 국제기구 혹은 전문가의 사찰 가능성은 충분히 열려 있습니다.

[앵커]

네. 팩트체크 오대영 기자였습니다.

오대영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