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6 (목)

대규모 대북 민간투자-빠른 비핵화…'북·미 빅딜' 근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JTBC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미국에서 나오는 이런 투트랙의 전략은 북한과는 어느 정도 통한 상태에서 나오는 것인가가 궁금할 수밖에 없습니다. 워싱턴 연결합니다.

정효식 특파원, 이른바 빅딜이 상당부분 근접했다고 봐야 되는 겁니까?



[기자]

일단 양측의 반응을 보면 그렇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어제 폭스뉴스에 "김 위원장이 미국 국민들과 목표를 공유하고 있다고 확신한다"고 했는데 직접 들어보시죠.

[마이크 폼페이오/미국 국무장관 (현지시간 13일 폭스뉴스) : 이번 주 초 이 제안을 했을 때, 김 위원장이 미국 국민과 목표를 공유하고 있다고 확신했습니다. 이제 트럼프 대통령과 그가 만나 절차를 승인하면 되는 겁니다.]

앞서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폼페이오 장관이 지난 9일 김 위원장과 면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새로운 제안이 담긴 구두 메시지를 전달했고, 토의한 문제들에 대해 '만족한 합의'를 봤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폼페이오 말대로라면 6월 12일 싱가포르 회담에서 정상 간 합의만 남은 셈입니다.

[앵커]

미국이 제안한 경제적 보상 방식이 정부 차원의 직접 지원이 아니라 민간 투자 방식입니다. 무슨 이유일까요.

[기자]

대북 지원에 납세자의 돈, 즉 세금을 직접 쓰지 않겠다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입니다.

대선 후보 시절부터 과거 정부의 대북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는데 대표적인 게 클린턴 정부가 제네바합의로 대북 중유·식량 지원에 세금으로 수십억 달러를 퍼주기를 했다는 거였습니다.

[앵커]

결국 보상 방식도 민간 투자로 과거 정부와 차별화한 것인데, 비핵화담판의 성과를 빨리 내고 싶은 트럼프 대통령의 의중도 반영됐다고 봐야겠지요.

[기자]

그런 측면도 강합니다.

'빠른 비핵화'를 위해 '빠른 보상' 방식을 택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정부가 직접 대북 예산지원을 하려면 의회 심의, 의결이 필요하기 때문에 시간이 걸리는 데다, 집행하는 도중에도 의회 결정으로 중단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북 민간 투자를 허용하는 것은 제재 완화와 함께 대통령 행정 권한으로 곧바로 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앵커]

김 위원장 입장에서는 핵무기까지 통째로 미국에 넘기면서 보상은 언제 이뤄지냐고 의심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 협상이란 게 리스크를 안고 있는 건데, 어떻게 봐야 할까요?

[기자]

보상 시점은 아직 북·미 간에 이견이 큰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이나 볼턴 보좌관은 "빠른 비핵화가 되면 보상도 빨리 이뤄질 것"이라며 설득하지만, 북한으로선 어떻게 믿느냐는 겁니다.

이와 관련 요미우리 신문은 김 위원장이 지난 8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미국이 비핵화를 끝내면 경제지원을 하겠다고 하지만 믿을 수 없다"고 불만을 토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북·미 간 포괄적 합의를 할 경우 중간 단계에서 중국이 경제지원을 해주길 바란다"고 요구했다는 겁니다.

김 위원장이 선 비핵화-후 보상이 합의대로 이뤄질지 우려하고 있다는 분석이 가능한 대목입니다.

이달 22일 한·미 정상회담서 북한의 염려를 해소하면서 합의의 강제력을 담보할 수 있는 방안이 논의될 수도 있어 보입니다.

[앵커]

당연히 그 부분이 의심스럽겠죠. 정효식 워싱턴 특파원이었습니다.

정효식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