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부와 GM이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하지만 한국GM은 아직 풀어야 할 난제가 남아있다.[사진=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산자부와 GM이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하지만 한국GM은 아직 풀어야 할 난제가 남아있다.[사진=뉴시스]
10년 내다본 선택 적중할까 빗나갈까
GM(제네럴모터스)이 한국에 최소 10년간 더 머물게 됐다.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배리 엥글 GM사장이 지난 10일 산자부-GM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면서다. MOU에 따라 GM은 총 64억 달러(약 6조8480억원)를 투입하고, 산업은행은 7억5000만 달러를 지원한다.
GM의 먹튀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도 마련했다. GM은 2023년까지 한국GM 지분을 매각할 수 없고, 2028년까지는 지분율 35% 이상의 1대 주주를 유지해야 한다. 지난해 소멸됐던 산업은행의 비토권도 회복했다. 정부로선 8000억원가량의 혈세를 들여 GM이 10년간 한국을 떠나지 못하도록 붙잡은 셈이다.
그런 만큼 찝찝한 구석이 남아있다. 정부와 GM이 투입하는 돈의 성격이 달라서다. GM이 투입하는 64억 달러 중 28억 달러는 기존 대출액인 '올드머니'이고, 36억 달러는 새로 투자하는 '뉴머니'다. 뉴머니 중 28억 달러는 회전대출(매년 만기 연장 여부 결정), 8억 달러는 출자전환으로 지원한다. GM이 대출금리를 기존 4.8~5.3%에서 1%포인트 이상 인하하기로 했지만 신규 차입금의 연간 이자는 약 9744만 달러에 달한다.
유가 껑충 뛰자 항공업계 시름
국제유가가 오르면 유류할증료도 오른다.[사진=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제유가가 오르면 유류할증료도 오른다.[사진=뉴시스]
화물운송 가격도 오를 수 있다. 지난해 항공업계 매출을 견인한 건 화물운송이었다. 유가 상승이 경제적 악순환의 고리로 작용할 수 있다. 문제는 유가상승 기조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거다. 최근 국제유가는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이란 제재' 가능성, 이스라엘과 이란의 충돌 징후 때문에 오름세를 띠고 있다. 미국이 이란 제재 기조를 바꾸지 않을 공산이 크다는 점에서 유가상승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반론도 있다. 미국의 셰일오일로 유가가 재조정될 거라는 견해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이 올해 국제유가가 45달러에서 55달러 수준으로 유지될 거라는 전망을 내놓은 것도 이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중동 정세 악화에 따른 불안심리는 셰일오일로 인한 유가안정 기대감을 잠식하고 있다. 항공업계로선 진퇴양난이다.
문재인 케어 문제 뭐기에
보건복지부와 대한의사협회가 ‘문재인 케어’를 놓고 대화를 재개하기로 했지만, 입장차를 좁힐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사진=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보건복지부와 대한의사협회가 '문재인 케어'를 놓고 대화를 재개하기로 했지만, 입장차를 좁힐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사진=뉴시스]
최 회장은 "의료계가 바라는 건 의학적 원칙에 따라 환자를 위한 최선의 의료서비스가 가능한 의료, 국민을 위한 안전한 의료를 정립하는 것"이라면서 "의협과 복지부가 진정성을 갖고 소통한다면 합리적이며 현실적인 '문재인 케어' 절충안이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권 차관은 "국민의 건강과 안전, 생명을 지키겠다는 점에서 의협과 정부가 지향하는 목표는 같다"면서 "의사들의 협력 없이는 절대 좋은 방안이 나올 수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고 답했다.
대화 물꼬는 텄지만 '문재인 케어'를 두고 벌어진 입장차이는 여전하다. 복지부는 비급여 항목의 급여화 적정수가 보상 신포괄수가 시범사업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평가체계 개선 등을 강조하지만 의협은 비급여 항목의 전면 급여화가 아닌 단계적 급여화 임의비급여 존치와 예비급여 폐지 등을 주장하고 있어서다.
고준영 더스쿠프 기자 shamandn2@thescoop.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