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8 (화)

[ISSUE INSIDE] 네이버 댓글 정책 또 ‘찔끔’ 개편-아웃링크 도입, 댓글 관리 언론사에 떠넘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경이코노미

한성숙 네이버 대표가 댓글 정책 개편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내 최대 포털 업체 네이버가 올해 하반기부터 모바일 첫 화면에서 자사가 편집하는 뉴스와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를 빼기로 했다. 대신 언론사가 직접 만드는 뉴스 섹션을 따로 도입한다. 뉴스를 클릭하면 언론사 사이트로 연결하는 ‘아웃링크’ 도입도 추진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네이버의 이번 조치가 ‘부분적인 아웃링크’에 불과한 만큼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분석도 내놓는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5월 9일 뉴스 댓글 서비스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3분기부터 네이버는 더 이상 뉴스 편집을 하지 않겠다”며 “네이버 뉴스에 구글식 아웃링크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했다.

먼저 모바일 첫 화면에서 직접 편집하는 뉴스 섹션을 빼고 검색 중심으로 재편한다. 한 대표는 “네이버가 뉴스를 편집하고 네이버 첫 화면에 뉴스가 집중 배치되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기술적인 방안만으로 댓글을 개선한다면 문제가 반복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현재 구글은 모바일 검색 앱이나 웹에서 뉴스를 모아 배열하는 ‘뉴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기사를 클릭하면 해당 언론사 웹페이지로 곧바로 연결되는 시스템이다. 이를 ‘아웃링크’라고 부른다. 다만 트래픽이 언론사로 연결되는 만큼 구글은 이에 대한 전재료(사용료 지불)를 언론사에 제공하지 않는다.

하지만 아웃링크를 원하지 않는 언론사가 훨씬 많고 네이버는 언론사가 편집하는 뉴스판을 따로 만들겠다고 밝히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아웃링크로 전환하면 3000만명 이용자를 보유하는 네이버 플랫폼에서 사실상 퇴출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이 때문에 아웃링크를 받아들이는 언론사는 극히 드물다.

네이버 자체 조사에 따르면 아웃링크를 원하는 언론사는 단 1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웃링크 전환 시 언론사 홈페이지 트래픽 증가로 광고 매출이 오르더라도 그 규모가 전재료보다 많을지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유봉석 네이버 미디어서포트 리더는 “뉴스 서비스를 제휴하고 있는 언론사 중 70%가 회신을 줬는데 절반은 유보 입장을 밝혔고, 찬성은 1개 매체였다”며 “나머지 언론사는 모두 인링크를 원했다”고 전했다.

▶첫 화면 구글 ‘검색창’으로…뉴스·실검 없애기로

뉴스 유통·댓글 장사 욕심 여전…책임 회피 궁리만

정치권 또한 이번 대책에 대해 ‘생색내기 혹은 미봉책에 불과하다’는 입장이다. 야당을 중심으로 전면적인 아웃링크와 거리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네이버가 어떤 형태로든 뉴스 서비스를 포기하지 않는 한, 언론사는 네이버의 종속적 뉴스 유통구조에서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네이버가 아웃링크 도입 책임을 언론사에 지우려고 한다”는 비판도 있다. 김경진 민주평화당 의원(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은 “3000만명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네이버의 플랫폼 영향력이 유지되는 상황에서 일부 언론사만 아웃링크를 선택하면 트래픽과 광고 수익에 막대한 손실을 입게 된다”며 “구글과 같은 전면 아웃링크 방식을 도입해야 미디어 독점을 분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강승태 기자 kangst@mk.co.kr]

[본 기사는 매경이코노미 제1958호 (2018.05.16~05.22일자)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