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에 마땅한 중재세력 부재…'2국가 해법'도 동력 약화
미국ㆍ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PG) |
(예루살렘=연합뉴스) 노재현 특파원 = 중동의 화약고로 불리는 팔레스타인 지역에 먹구름이 잔뜩 꼈다.
이스라엘 주재 미국대사관의 14일(현지시간) 예루살렘 이전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평화협상에 악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우려가 적지 않다.
팔레스타인은 유대교뿐 아니라 이슬람교의 성지로도 꼽히는 동예루살렘을 미래의 자국 수도로 주장해왔다.
미국이 예루살렘에 자국 대사관을 세우는 것은 친이스라엘 정책의 강화를 의미하고, 팔레스타인과 미국, 이스라엘의 갈등을 키울 공산이 크다.
안그래도 팔레스타인 평화협상은 교착상태에 빠졌고 중동의 평화중재자로서 미국의 위상은 약화했다.
작년 12월 6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루살렘을 이스라엘 수도로 인정한다고 발표한 뒤 팔레스타인은 미국과 대화를 계속 거부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유엔 팔레스타인난민기구(UNRWA)에 대한 지원 삭감을 발표하며 압박에 나섰지만, 팔레스타인은 응하지 않고 있다.
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 수반은 지난 1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를 만난 자리에서도 "미국은 정직한 평화중재자로서 역할을 포기했다"고 비판했다.
미국 정부는 팔레스타인을 대화 테이블로 유도할 당근책을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미국의 예루살렘 대사관 개관으로 팔레스타인의 분노는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팔레스타인과 미국의 대화가 중단된 가운데 다른 해결책도 마땅치 않은 것이 현실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예루살렘 선언' 이후 팔레스타인은 아랍권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지지를 호소했지만, 성과는 신통치 않다.
아랍국가들은 이스라엘과 미국을 비판하는 성명을 여러 차례 내는 데 그쳤고 실효적인 대책을 내놓지 못했다.
아랍국가들은 정세 안정과 경제 회복 등 국내 현안에 집중하느라 팔레스타인 문제에 신경 쓸 여지가 없다는 평가를 받는다.
가자지구 시위[AP=연합뉴스 자료사진] |
더구나 중동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등 친미국가들은 이스라엘과 가까워지는 형국이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실세인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는 최근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과 인터뷰에서 팔레스타인 문제가 해결되면 이스라엘과 수교를 맺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집트는 1979년 이스라엘과 평화조약을 맺었으며 양국은 시나이반도에서 대테러 활동에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
아랍국가들이 이스라엘에 맞서 단합된 행동을 하기가 과거보다 훨씬 어려운 구도인 셈이다.
유엔 등 국제기구도 팔레스타인 문제에서 힘을 못 쓰기는 마찬가지다.
유엔은 그동안 이스라엘의 정착촌 확대, 예루살렘 수도 주장 등을 비판해왔지만, 이스라엘은 이를 무시하고 있다.
독일, 영국, 프랑스 등 유럽 국가들도 아직 팔레스타인 문제에서 존재감을 크게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
이스라엘과 미국을 견제할 세력이 보이지 않는 만큼 이스라엘의 '마이웨이' 행보가 더욱 강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의 점령정책에 팔레스타인인들의 삶이 피폐해지는 상황이 계속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예루살렘 미국대사관 개관으로 팔레스타인과 국제사회가 지지해온 이른바 '2국가 해법'도 중대위기를 맞았다.
'2국가 해법'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1967년 이전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각각 별도국가로 공존하자는 것으로, 1993년 오슬로평화협정 이후 중동평화 협상 과정의 중심 의제였다.
그러나 미국이 예루살렘을 수도로 인정하면서 동예루살렘을 중심으로 독립국을 세우려는 팔레스타인의 구상에 큰 걸림돌이 생겼다.
noja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