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05 (화)

“공항 통합이전이 가장 현실적… 합의 깨면 낡은 도시 못벗어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6·13 지방선거 광역단체장 후보에게 듣는다]권영진 자유한국당 대구시장 후보

동아일보

자유한국당 권영진 대구시장 후보는 11일 동아일보 인터뷰에서 “지난 4년간 대구를 4차 산업혁명 선도 도시, 세계로 뻗어가는 도시로 만들었다고 자부한다”며 “재선이 된다면 이런 초석을 토대로 대구의 희망찬 미래를 활짝 열겠다”고 말했다. 권영진 후보 측 제공


“대구가 여야 협치 모델을 새로 만들고 있습니다.”

자유한국당 권영진 대구시장 후보는 11일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정치 상황에 따라 추구하는 방향은 서로 조금씩 달랐지만 오직 대구의 미래를 위해 분열하지 않고 협업해 왔다”고 소개했다. 권 후보는 “가만히 살펴보면 대구만큼 여러 정당이 있는 도시가 없는 것 같다. 현재 여당과 3개 야당에 속한 국회의원들이 활동하고 있다”며 “지금의 혼란스러운 정국을 헤쳐 나갈 수 있는 지혜를 대구 사례에서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 4년간 대구 협치의 중심에서 중론을 모으기 위해 애써 왔다는 권 후보는 “대구에서 이뤄진 여야의 소통을 중앙 정치가 좀 배우면 좋겠다는 생각을 요즘 부쩍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음은 일문일답.

―대구공항 이전과 관련해 권 후보는 통합 이전을, 임대윤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군 공항인 K-2 이전만 주장하는데….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민간 공항은 두고 군 공항만 이전하자는 것은 터무니없는 정치 공세다. 통합 이전은 가장 현실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방안으로 당시 여야가 합의한 사안이다. 특별법에 따라 예산 확보 방안이 있고 이전 대상지도 두 곳이 유치 경쟁을 벌일 정도로 속도감 있게 진행되고 있다. 이르면 최종 이전 부지는 올 하반기 윤곽이 드러날 것이다. 분리 이전은 이런 내용을 뒤집자는 것인데, 대구 역사의 수레바퀴를 과거로 돌려서 낡고 변화가 더딘 도시를 계속 연장하자는 이야기밖에 안 된다. 대구공항 통합 이전은 이번 선거에서 다시 공론화될 것이고 시민들의 합의가 어느 정도 모아질 것으로 본다. ①번 공약으로 내걸고 당당히 유권자의 선택을 받겠다.”

―대기업 유치에 들어가는 낭비를 줄이고 중소기업을 더 지원하는 게 효과적이라는 지적이 있다.

“지역 중소기업의 성장 사다리로 자리매김한 대구시의 스타 기업 육성 정책은 현 정부가 모델로 채택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 대구의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느꼈다. 청년일자리도 마찬가지다. 어려운 길이지만 좋은 기업을 반드시 유치해야 한다. 지난 3년간 각고의 노력 끝에 현대로보틱스, 롯데케미칼 같은 글로벌 대기업이 대구에 둥지를 틀었다. 이런 긍정적 에너지를 살리지 않으면 대구의 미래를 열 수 없다. 지역 중소기업을 세계적 강소기업으로 키우고 좋은 기업을 유치하는 노력을 동시에 해야 대구가 재도약할 수 있다.”

―국회가 정상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지역 현안들이 곳곳에서 삐걱거리고 있는데….

“국회가 공전하는 책임은 여당에 더 있다고 본다. 국정 혼란과 마비의 원인을 야당에 전가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야당과 소통하고 타협하면서 정국을 풀어낸 것이 우리 국회의 역사다. 정부 여당이 무한 책임과 혜안을 발휘하지 않고 무조건 밀어붙이는 행태를 보이는 것은 거의 처음 본다.”

―남북, 북-미 간 정상회담 결과가 이번 선거에 미칠 영향은….

“정부가 도가 지나칠 정도로 정치적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합의는 잘한 일이지만 마치 비핵화와 평화를 가져다주는 것처럼 호도해선 안 된다. 그간 숱한 합의와 선언이 있었지만 실천과 성과는 거의 없었다. 현명한 국민들은 흔들리지 않았다.”

―주요 성과는 무엇인가. 재선을 해야 하는 이유는….

“지난 4년 동안 자랑스러운 대구의 역사와 문화를 세계화했다. 대구의 변화와 희망을 완수하기 위해 한 번 더 시장을 연임시켜 주는 것이 대구시민의 이익과 미래를 위한 길이라고 생각한다. 시민들의 선택을 받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대구=장영훈 기자 jang@donga.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