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객관적 학업 능력 평가 기회" 수능형 학평 1만3000명 응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초·중학생 수능형 학력평가 전국 첫 실시

17개 광역시·도서 고르게 참가 시험 체감 난도는 다소 높은 편

전국 석차·성취도 등 데이터 제공

지난달 28일과 29일 한국교육평가센터가 주관하는 '전국 초·중학생 수능형 학력평가'(이하 수능형 학력평가)가 전국에서 온라인으로 처음 치러졌다. 수능형 학력평가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인재를 지역별로 발굴하고, 진로·적성을 일찍 파악해 체계적으로 자녀 교육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취지로 개발된 시험이다. 국가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한 학년별 창의·사고력 문제, 1993년부터 작년까지 치러진 수능 데이터와 연계된 문제를 통해 초·중학생 때부터 자신의 학습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이런 이유로 첫 시험임에도 전국에서 1만3000여 명이 응시했다. 시험 후 "문제 난도가 높았다"는 응시 소감과 함께 "(아이 학업 수준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이러한 평가가 지속적이고 주기적으로 실시되길 바란다"는 등의 학부모 의견이 이어졌다.

조선일보

지난달 28~29일 한국교육평가센터가 주관한 ‘초·중학생 수능형 학력평가’가 전국에서 온라인으로 처음 치러졌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국에서 1만3000여 명 응시

수능형 학력평가 응시 대상은 초등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다. 다만 지난 첫 시험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이 배제됐다. 초등 2학년은 국어·수학을 각각 60분과 80분간 응시했으며, 초등학교 3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는 국어·과학·사회·수학·영어 순으로 시험을 치렀다. 시험 시간은 국어 60분, 영어 60분, 수학 80분, 과학 40분, 사회 40분이었다. 사회는 일반사회 1·2와 역사 1·2로 나뉘어 출제됐으며, 영어에는 듣기평가가 포함됐다. 첫 시험 후 학부모와 교육기관의 요청으로 지난 5~13일까지 온라인 특별평가가 치러졌으며, 오프라인 특별평가도 현재 진행 중이다.

시험에 참여한 인원은 총 1만3000여 명이다. 온라인 응시생 5000여 명과 오프라인 응시생 8000여 명을 합한 수치다. 전국 17개 광역시·도에서 고르게 참가해 이번 수능형 학력평가 결과의 신뢰도를 높였다. 단일 학교로 가장 많은 학생이 참가한 학교는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였다. 또한 학교를 가장 많이 보유한 경기도와 서울특별시가 다른 시·도보다 학교 단위 참가 수가 많았다<표 참조>.

시험의 체감 난도는 다소 높았다. 일례로 2018학년도 수능 국어가 평균 64.6점, 표준편차 20.8을 보였는데, 이번 수능형 학력평가 중학생 국어의 경우 50.37~55.97점의 평균 점수와 14.99~16.37의 표준편차를 나타냈다. 한국교육평가센터 관계자는 "중학생은 고교생처럼 정기적으로 수능 모의고사 등을 치르지 않기 때문에 문제가 생소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초등학생의 경우 전국 단위 시험이 처음인 점을 감안해 난도를 다소 평이하게 조절해 출제했다. 수능형 학력평가의 초등 문제는 경력 10년 이상의 서울교육대학교 출신 전·현직 교사(석·박사급)와 교과서 집필진, 중등 문제는 경력 10년 이상의 서울대학교 출신 전·현직 교사(석·박사급)와 교과서 집필진으로 구성된 출제위원진이 각각 출제했다. 문제 감수는 서울대 산학협력단 산하 연구센터와 ㈔한국교육과학연구원이 맡았다.

시험 후 학생·학부모의 응시 소감도 이어졌다. 초등학교 2학년 자녀를 둔 한 학부모는 "교과서 문제를 잘 푸는 아이임에도 아예 풀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정도로 난도가 높아 놀랐다"는 후기를 남기기도 했다. 시험에 응시한 한 중학생도 "수능이 얼마나 어려운지 이 시험을 통해 느낄 수 있었다"며 "고 3 수험생의 기분을 알았다"고 응시 소감을 밝혔다.
조선일보

/한국교육평가센터 제공


◇성적표에선 전국석차·지원 가능 대학 등 제공

한국교육평가센터는 학생·학부모가 진로·진학 교육의 기초 자료로 쓸 수 있도록 시험 결과를 다양한 형태로 제공한다. 성적표에는 ▲학년·과목별 전국 석차 ▲수능 등급 예측 ▲지원 가능 대학·학과 예측 ▲과목·영역별 학업성취도 분석 ▲서술형 종합 평가 등이 기재된다. 자녀의 현재 학업 성취 수준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정규분포를 활용해 전국 예상 석차를 제공할 예정이다. 김진수 한국교육평가센터 대표는 "암기한 지식보다 종합적 사고력을 측정하기 위한 수능형 문제가 많이 출제돼 학생들이 다소 어려움을 느꼈을 것"이라며 "정기적으로 이러한 평가를 경험하면 수능형 문제에 대한 적응력이 높아지고, 문제 해결력 향상이나 학습 방법 개선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교육평가센터는 평가 결과 발표 후 이달 중 시험에 응시한 모든 학생·학부모를 대상으로 전국 권역별 교육 특강과 함께 평가 결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는 개별 맞춤 상담 이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후 전국 초·중학생 학력평가는 6월 말~7월 초에 진행된다. 본 평가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한국교육평가센터 홈페이지(www.kcee.kr)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오선영 조선에듀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