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병력을 투입하고 사전모의에 가담한 혐의를 받는 문상호 정보사령관이 20일 오후 서울 중앙지역군사법원에서 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기 위해 법정으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문상호 정보사령관이 비상계엄 당일 경기 성남시 판교 국군정보사령부 예하 100여단에 모였던 정보사 요원 등 38명 명단을 김봉규 정보사 대령 등으로부터 통보받으며 “황당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26일 알려졌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직원 30명을 체포하기 위해 정보사 요원을 선발하는 과정에 자신이 관여하지 않고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의 직접적인 지휘가 있었다는 취지의 주장이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비상계엄 수사 티에프(TF·팀장 이대환 수사3부장)는 최근 문 사령관에게서 “(판교 100여단에 대기한) 정보사 38명 요원 명단을 김 대령이 전화로 불러줬는데, 대부분 모르는 사람이라 황당했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했다.
비상계엄이 선포되기 직전인 지난 3일 밤 100여단에는 북파공작원부대(HID) 요원 등을 포함한 정보사 요원 38명이 대기 중이었다. 이보다 앞선 지난 9월께 노 전 사령관은 김 대령과 정보사 소속 정성욱 대령에게 “820(정보 전문) 특기자 중 몸이 건장하고 호남 출신이 아닌” 중·소령급 인원 35명 선발을 지시했다. 김 대령 등은 요원 선발을 마치고 문 사령관에게 이를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문 사령관이 선발 과정에는 자신이 전혀 관여하지 않았다는 취지로 변론에 나선 것이다. 공수처는 이날 김 대령을 불러 문 사령관의 사전 계엄 논의와 선관위 체포조 구성 관여 여부 등을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문 사령관의 이러한 진술은 ‘계엄 비선 실세’였던 노 전 사령관의 개입 의혹을 키운다. 문 사령관은 지난 6월 정보사 출신 예비역 단체를 공작에 활용하는 방안을 놓고 부하 여단장과 갈등을 빚으며 국방부 조사본부에 서로 고소·고발한 사실이 드러났다. 올해 7월엔 정보사 소속 군무원이 국외 블랙요원 명단을 유출한 사실이 알려지며 책임론이 제기되기도 했다. 신원식 당시 국방부 장관은 문 사령관 교체를 검토했으나, 김용현 전 장관이 취임하면서 사령관 보직을 유지할 수 있었다. 문 사령관의 정보사 장악력이 떨어진 상황에서 김 전 장관이 노 전 사령관 등을 주축으로 영관급 장교 등을 포섭해 계엄 준비에 나선 게 아니냐는 의심을 더하는 대목이다.
한편, 문 사령관은 공수처 조사에서 선관위 직원을 체포한 뒤 구금할 목적으로 정보사 체포조를 운영했다는 의혹을 사실상 인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 사령관은 국회 증언 등에서는 체포조 운영을 줄곧 부인해왔다.
강재구 기자 j9@hani.co.kr
▶▶실시간 뉴스, ‘한겨레 텔레그램 뉴스봇’과 함께!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