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세기의 경매로 9000억 원 기부한 록펠러 가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집안 유언 지킨 데이비드·페기 부부

생전 모은 1550점 크리스티서 완판

주칠장 등 조선시대 공예품도 포함

중앙일보

생전의 데이비드와 페기 록펠러 부부. [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대미술관(MoMA)이 있는 미국 뉴욕 맨해튼 53∼54가는 원래 ‘석유왕’ 존 D 록펠러(1839~1937) 가문의 저택이 있던 곳이다. 현대미술 애호가였던 록펠러의 며느리 애비 앨드리치가 친구 두 명과 함께 MoMA를 만든 뒤 저택 터까지 기증했다.

중앙일보

이번 경매에서 최고가에 팔린 피카소의 ‘꽃바구니를 든 소녀’(1905). 데이비드 록펠러의 서재에 걸려 있던 작품이다. [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록펠러 가문의 손자이자 앨드리치의 아들인 데이비드 록펠러는 1915년 이 저택에서 태어나 지난해 3월 102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동갑내기 아내 페기(1996년 작고)와 함께 모은 소장품 1550점이 최근 크리스티 경매를 통해 완판됐다.

뉴욕 언론이 ‘세기의 경매’라고 명명한 ‘페기·데이비드 컬렉션’은 뉴욕 크리스티 경매장에서 8일(현지시간)부터 사흘간 진행된 경매를 통해 총 8억2800만 달러(약 8800억원)에 낙찰돼 단일 소장자의 컬렉션으로는 사상 최고기록을 세웠다.

1~12일 온라인을 통해 판매된 600여점의 소액 컬렉션 낙찰금액 460만 달러까지 포함하면 8억3000만 달러 이상이다. 경매 수익금은 전액 기부된다. 유산을 자식에게 물려주지 않고 사회에 기부하겠다는 록펠러 부부의 뜻에 따른 것이다. 부부는 생전에 컬렉션 경매를 계획했다. 기부금을 받을 12개 단체도 20년에 걸쳐 골라놓은 상태다. MoMA와 하버드대, 록펠러대, 음식과 농업을 연구하는 스톤반스센터 등이 포함됐다.

록펠러 컬렉션 가운데 최고가는 파블로 피카소의 1905년 작품인 ‘꽃바구니를 든 소녀’. 1억1500만 달러(약 1240억원)에 낙찰됐다. 피카소 작품 가운데 2015년 크리스티 경매에서 당시 경매가 1억7937만 달러(약 2025억원)에 낙찰된 ‘알제의 여인들’에 이어 두번째로 비싼 작품으로 이름을 올렸다. 이 작품은 데이비드가 죽기까지 그의 65번가 자택 서재에 걸려 있었다.

중앙일보

남미 작가의 작품중 역대 최고가에 낙찰된 디에고 리베라의 ‘경쟁자들’(1931). [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클로드 모네의 ‘만개한 수련’이 8470만 달러(약 900억원), 앙리 마티스의 ‘오달리스크’는 8075만 달러(약 860억원)에 각각 낙찰돼 그 뒤를 이었다. ‘만개한 수련’은 모네 작품 중에선 최고 낙찰가 기록이다.

중앙일보

조선시대 목각인형. [사진 크리스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록펠러 부부의 아들인 데이비드 주니어는 크리스티 매거진에 “아버지와 어머니의 의견이 일치해야만 중요한 작품을 샀다”며 “‘만개한 수련’은 부모님 침실로 올라가는 계단 벽에 걸려 있었다”고 말했다.

마티스의 ‘오달리스크’ 역시 예상가 7000만 달러를 뛰어넘으면서 마티스 작품 가운데 최고 낙찰 기록을 경신했다. 록펠러 부부가 후원한 디에고 리베라의 작품 ‘경쟁자들’은 980만 달러에 낙찰돼 남미 작가의 작품으로는 최고 기록을 세웠다.

중앙일보

조선시대 주칠장. [사진 크리스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 경매에는 록펠러 부부가 한국을 여행하면서 사들인 소반과 주칠장, 반닫이등을 포함한 전통공예품 22점도 선보였다. 두 사람은 78년과 82년 두차례 한국을 방문해 통인시장을 샅샅히 훑을 정도로 한국의 전통 공예품에 관심이 많았다. 그렇게 구입한 조선시대 주칠장은 이번 경매에서 3만달러 정도에 낙찰된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시대 목각인형 두 점은 데이비드의 어머니 앨드리치가 하버드대 입학 기념으로 선물한 것으로, 데이비드가 30년대 하버드대 기숙사 책상 위에 올려놓고 지낼 정도의 애장품이었다.

코너 조던 크리스티 부회장은 “이번 컬렉션을 보면 한국은 데이비드와 페기에게 특별한 의미가 있었다”면서 “허드슨 파인스 집의 2층 복도에 주칠장을 세워뒀고, 메인주 집 마당을 한국 조각상들로 장식했다”고 말했다.

뉴욕=심재우 특파원 jwshim@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