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김정은, 43일만에 또 방중..."비핵화 실현은 확고한 입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43일 만에 중국을 다시 찾아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을 만났다. 8일 오후 8시(한국시간) 중국 CCTV와 북한 조선중앙TV 등은 김 위원장과 시 주석이 랴오닝(遼寧)성 다롄(大連)에서 만나 한반도 문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보도했다.

중앙일보

7일 중국 다롄에서 만난 김정은과 시진핑.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정은은 3월 25~28일 중국을 열차로 극비 방문해 베이징(北京)에서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했다. 북·중 관계에서 전례를 찾기 힘든 단기간 내 두 차례 방중이다.

이번 방중에는 김 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을 비롯해 이수용·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이용호 외무상 등이 수행했다. 김정은은 7~8일 공식 회담-환영 만찬-해변가 산책-오찬 등 꽉 찬 일정을 시 주석과 함께 소화했다. 양국 발표문도 양국 간 우의를 강조하는 데 상당 부분을 할애했다.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정은은 북·중 관계를 “새로운 전성기” “떼어놓을 수 없는 하나”라고 표현했다. 시 주석은 “두 나라는 운명공동체, 변함 없는 순치의 관계”라고 화답했다.

핵 문제와 관련한 발표는 3월 북·중 정상회담 때와 큰 차이가 없었다. 신화사 보도문에 따르면 김정은은 "한반도 비핵화 실현은 북한의 시종 한결같은 명확한 입장"이라고 밝혔다. 또 “관련 있는 당사자가 대북 적대시 정책과 안보 위협을 없애면 북한은 핵을 보유할 필요가 없다”고 했다. 남북 정상회담에서 제시했던 비핵화의 조건과 같았다. 북한 측 발표문에는 핵 문제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었다.

시 주석은 “중국은 한반도 비핵화 및 북·미 대화 협상을 통한 한반도 문제 해결을 지지하며, 각국과 함께 계속해서 한반도의 평화적 해결 과정을 추진하고 지역의 장기적 평화에 적극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두 정상의 다롄 회동 사실은 중국 정부가 우리 쪽에 미리 알려 왔다"며 "김 위원장이 7일 다롄에 들어가 8일 평양으로 돌아갔다고 중국 정부가 통보했다"고 설명했다.

비핵화에 대한 입장 변화가 없는데도 김정은이 시 주석을 만나기 위해 급하게 다롄을 찾은 것은 북·미 정상회담과 관련한 협의가 순탄치 않다는 방증으로 볼 수 있다. 이희옥 성균관대 성균중국연구소장은 “북한이 남북 정상회담에서 비핵화에 대한 나름의 의지를 보였는데도 미국이 강한 압박을 가하고 나서자 대비책이 필요했던 것으로 보인다. 미국을 향해 북·중 관계가 제도화된 발전을 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주려는 의도가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국이 최근 핵을 포함한 모든 대량살상무기(WMD)의 영구적이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폐기(PVID)라는 새로운 원칙을 내세우며 협상 문턱을 높이자 중국과 협의할 필요성이 커졌다는 것이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은 “미국이 PVID를 들고 나오니 북한은 3월에 이어 중국에 재보험을 들어 미국의 강한 요구를 우회하려는 것 같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의 방중 소식이 전해진 직후 트위터를 통해 시 주석과 통화할 예정이라고 예고했다. 그는 “북한 문제에서 신뢰가 구축되고 있다”고 해 김정은의 방중과 관련해 미·중 간 협의를 시사했다.

서울=유지혜 기자, 베이징=예영준 특파원 wisepen@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