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볼턴 "北 비핵화, 리비아 방식 염두…김정은 이야기 들어봐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나주석 기자] 존 볼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29일(현지시간) 북한의 비핵화 방식과 관련해 "2003~2004년 리비아 방식을 염두에 두고 있다"면서 "(북한의 경우와) 명백히 다른 점도 있다"고 언급했다.

볼턴 보좌관은 이날 폭스뉴스, CBS 뉴스 등에 출연해 북한의 비핵화 등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폭스뉴스 사회자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생각하는 것은 북한에 대한 제재를 완화해주기 전에 모든 핵무기와 핵연료 탄도미사일을 북한이 포기하고 외부로 실어나르는 것이냐'고 묻자, 불턴 보좌관은 "그것이 비핵화가 의미하는바"라고 말했다. 볼턴 보좌관은 "리비아 프로그램은 북한보다 작았지만, 기본적으로 우리가 만든 합의였다"고 말했다. 그는 그동안 핵을 먼저 폐기한 뒤 관계를 정상화하는 리비아식 접근법을 지지해왔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만 볼턴 보좌관은 CBS와의 인터뷰에서는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했다는 전략적인 결정을 보이는 방식이 리비아와 같은 방식일 필요는 없다"면서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비핵화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가 그로부터 들어봐야 한다"고 말했다.

볼턴 보좌관은 "북한은 과거에 자신들의 약속을 파기한 사례가 있어, 미 행정부 누구도 북한이 하는 일에 대해서 낙관적인 시각으로 볼 수 없다"면서 "북한이 핵을 포기한다는 전략적 결정을 내렸다는 것을 입증한다면, 상황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연말까지 북한에 대한 비핵화가 가능한지를 묻는 말에 볼턴 보좌관은 "일단 해체해야 할 수량이 얼마나 되는지부터 파악해야 한다"면서 "회담장에 드라이버 세트를 들고갔다 다음날부터 해체 작업에 들어갈 수 있는 것은 아니지 않냐"고 말했다.

볼턴 보좌관은 1992년 한반도 비핵화 선언이 향후 북미 정상회담에서 참고할 것임을 시사했다. 그는 "1992년 남북한은 핵무기를 포기하고 우라늄 농축, 플루토늄 재처리를 하지 않겠다고 선언을 했었다"고 언급했다. 향후 비핵화 협상이 단순 핵무기 폐기를 넘어, 우라늄 농축 시설은 물론 플루토늄 재처리 시설 폐기까지 수반되어야 한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볼턴 보좌관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생·화학 무기, 미국인 억류자, 한국과 일본의 납북자 등에 대해서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북미 정상회담에 대해 "열릴 것으로 본다"면서도 "아직 논의 중"이라고 언급했다. 볼턴 보좌관은 "회담 장소 선정 등이 남아 있다"면서도 "김 위원장이 모든 핵 프로그램을 포기하겠다는 전략적인 결정을 내린다면 장소나 날짜 결정이 쉬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