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김시곤 "이정현, KBS에 '윤창중 성추문' 보도 자제 부탁"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시곤 "김장겸이 불러 나갔는데 이정현도 나와"

"'윤창중 보도 줄이고 방미성과 많이' 부탁" 증언

"靑, KBS를 홍보도구로 생각…MB 때 흔히 전화"

뉴시스

【서울=뉴시스】고범준 기자 = 세월호 침몰 참사 당시 KBS보도에 개입한 혐의를 받는 이정현 무소속 의원이 25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2차 공판을 위해 들어서고 있다. 2018.04.25. bjko@newsis.com


【서울=뉴시스】김현섭 이혜원 기자 = 김시곤 전 KBS 보도국장이 이명박 전 대통령 시절 보도 개입이 자주 일어났다고 법정에서 밝혔다.

김 전 국장은 25일 서울중앙지법 형사17단독 오연수 판사 심리로 열린 이정현 의원(무소속)의 세월호 보도 개입 혐의(방송법 위반) 2차 공판에 증인 출석했다.

김 전 국장은 "2013년에 당시 MBC 김장겸 국장이 국장들끼리 저녁식사를 하자고 해서 나갔는데 이 의원이 나왔다"며 "당시엔 정무수석이었는데 윤창중 성추문 보도를 줄이고 방미 성과를 많이 보도해달라고 부탁했다"고 밝혔다.

그는 길환영 전 KBS 사장으로부터 윤창중 관련 뉴스를 보도 첫 번째로 다루지 말고 방미 성과로 해달라고 연락 받은 적도 있다고 전했다.

김 전 국장은 검찰이 "당시 이 의원은 정무수석이었다. 청와대 정무수석에게 그런 요청을 받는 게 일반적인 일인가"라고 묻자 "있을 수는 있었다고 알고 있다"고 대답했다.

이어 "어떤 청와대 수석도 KBS를 홍보도구로 생각하는 측면이 있다"며 "이명박 전 대통령 때도 흔히 그런 전화가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김 전 국장은 "현행 방송법은 KBS 사장을 청와대 권력이 선임하는 구조"라며 "수석이 전화하면 당연히 부담감이 있을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박근혜정부 청와대 홍보수석 시절인 2014년 4월 김 전 국장에게 전화를 걸어 세월호 참사와 관련해 해경 비판을 자제해달라는 취지의 말을 하는 등 보도에 개입한 사실이 통화녹취 등을 통해 밝혀졌다.

4·16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는 그해 6월 이 의원과 길환영 전 KBS 사장을 방송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afero@newsis.com

hey1@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