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6 (토)

자꾸만 오르는 강남 집값 제2강남으로 잡을 수 있을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금주의 땅집GO]

서울 강남 집값을 안정시키기 위한 정부의 연이은 대책이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근본적으로 강남 주택 수요를 분산할만한 대체지가 없다면 주기적으로 되풀이되는 강남 집값 급등과 이에 따른 부작용을 막을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땅집고는 강남 집값 안정화를 위한 대체지 개발이 필요한지, 어떤 식으로 가능할 지에 대해 전문가 의견을 들어봤다.

강남 대체지 개발로 가장 먼저 생각할 수 있는 방안은 강남 인근에 택지지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다만 이 경우 서울이나 인근 경기도 지역에 택지지구로 쓸 땅이 많지 않아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 해제가 사실상 유일한 방법으로 평가된다.

심교언 건국대 교수는 "판교신도시에 오피스를 많이 공급하니까 한때 강남구 테헤란로 오피스 가격이 떨어졌듯이 강남 인근에 대규모 주택을 지으면 효과가 분명히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마음만 먹으면 개발할 수 있는 그린벨트는 많지만 환경단체 반대와 단기적 가격 급등이 우려돼 정치적으로 매우 어려운 일"이라고 했다.

서울 강북 등 비인기 지역 인프라를 대폭 확충해 강남 수준으로 주거 환경을 끌어올리는 방안도 나온다. 하지만 강남을 대체할만한 주거지를 지속적으로 개발하려면 현실적 어려움이 크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십 수년 전부터 강북 뉴타운 개발이 시도되고 있지만 마포·성동구 등 일부를 제외하고 성과를 내지 못했다"면서 "기존 도로·주택 등이 남아있는 지역의 인프라를 개발하는 일은 새로 만드는 것보다 10배 이상 비용과 시간이 든다"고 했다.

수도권에서는 주택 과잉 공급 우려로 강남을 대체할 대규모 주거지를 만드는 것이 어렵다는 의견도 있다. 채미옥 한국감정원 부동산연구원장은 "화성 동탄신도시를 비롯한 수도권 외곽의 교통 여건이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 등으로 개선되고, 이 곳에 좋은 아파트가 많이 지어져 교육 여건만 개선되면 인구 분산에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원갑 위원은 "대규모 강남 대체지 개발은 그린벨트 해제에 따른 자연 파괴를, 도심 고밀도 개발은 환경 훼손 같은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며 "정부가 5년간 100만가구의 공공 주택을 짓겠다고 공언했으니 이를 착실히 이행하면서 주변 지역 인프라를 개선해 나가는 등 현실적인 대책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한상혁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