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회담 앞두고 대북사업 움직임
경기·인천·강원 공동방역 재개 검토
광주교육청, 방북 수학여행단 논란
“아이들 안심하고 보내겠냐” 비판도
전문가 “지방선거 앞둔 탓 영향
국제사회 분위기 조성돼야 가능”
최근 완도에서 발족한 ‘사랑의 김·미역 북녘 보내기운동본부’ 모습. [사진 전남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남 완도에서는 민간 단체인 ‘사랑의 김·미역 북녘 보내기 운동본부’를 중심으로 김·미역을 보내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2006년 미역 30t을 민간단체가 주관해 북한 주민들에게 보내는 등 3차례에 걸쳐 총 6억원 상당의 해조류를 전달한 데 이은 후속 사업이다. 완도 지역 45개 단체 등이 참여한 이 단체는 해조류 보내기 사업이 남북 관계 개선과 지역 특산물을 알리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낙연 총리가 전남지사 때인 2015년 1월 남북교류사업인 ‘땅끝협력 사업’을 추진했던 전남도도 관련 사업들을 준비하고 있다. 2007년 이뤄진 ‘평양 발효 콩 빵 공장’ 건설사업에 이어 제2공장 건립 사업을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전남도는 2001년부터 2008년까지 20회에 걸쳐 총 14억원 규모의 대북 지원사업을 해왔다.
광주광역시는 오는 9월 열리는 광주비엔날레에 북한 참관단 참가를 추진하고 있다. 또 광주시 양궁선수단과 북한 선수단이 함께 전지훈련을 하고 내년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에 북한 선수단이 참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동양화나 도자기등 북한 문화 특별전시전을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여는 것도 검토 대상이다.
북한과 거리가 가까운 접경지 지자체들은 남북교류사업에 더욱 속도를 내고 있다. 경기도, 인천시, 강원도 등 3개 지자체는 말라리아에 대비해 남북공동방역사업을 재개할 준비를 하고 있다. 말라리아가 유행할 것에 대비해 오는 27일 열리는 남북정상회담 이후 공동방역을 하는 게 주요 내용이다. 북한에서 모기가 이동해오는 점을 감안할 때 남한에서만 방역하는 것보다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08년 처음 시작된 말라리아 남북공동방역사업은 2011년까지 계속되다가 중단됐다.
2007년 ‘전남도민 남북교류협의회’ 회원들의 방북 당시 모습. [사진 전남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남북 관계의 호전이 전제가 돼야할 사업들도 있다. 광주시교육청이 추진 중인 청소년 수학여행단 방북 등이다. 학생들이 금강산과 백두산 등 북한의 명소를 방문하면서 자연스럽게 통일교육이 이뤄지고 민족의 동질성 회복도 가능하다는 게 교육청의 판단이다. 광주시교육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안서를 청와대와 통일부 등에 최근 보냈다. 중학생 자녀를 둔 김지훈(45)씨는 “북한까지 수학여행길이 열리는 것은 좋지만, 2008년 7월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망 사건이 생각나 안심하고 아이들을 보낼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지자체별로 대북교류사업이 쏟아지는 데는 오는 6월 13일 지방선거의 영향도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현직 단체장들이 재선을 위해 실현 가능성보다 일단 명칭이 그럴싸한 사업들을 추진부터 한다는 것이다. 익명을 요청한 지자체 관계자는 “지자체들이나 민간에서 추진하는 대부분의 남북교류사업은 정부 승인은 물론, 국제사회의 분위기 조성이 이뤄져야만 가능하다”고 말했다.
김호 기자 kimho@joongang.co.kr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