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3 (수)

KAIST-현대차, '미래자동차학제전공' 석사과정 신설… 현대차 입사 보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자율·친환경 차' 핵심 인재 양성 나선다"

- 2019년 봄학기 '미래자동차학제전공' 15명 정원 석사과정 신설… "국내 첫 전자·전산 중심 '미래차' 석사과정"

메트로신문사

KAIST 학생들이 자율주행 자동차 시뮬레이션을 체험해보고 있다. /KAIST


KAIST(총장 신청철)와 현대자동차그룹이 공동으로 AI(인공지능) 기반 미래 차 핵심인재 양성에 본격 나선다. 양 기관의 채용 과정을 거쳐 이공계열 학부 출신 15명을 장학생으로 선발해 2년 과정을 마치면 현대자동차 채용도 보장하기로 했다.

양 기관은 지난 19일 KAIST 대전 본원에서 '미래 자동차기술 분야 대학원 학제 설립 협약'을 체결하고 이 같은 내용의 핵심 인재 양성에 나서기로 했다.

그동안 일부 대학에서 기업과 협약을 통해 자율주행 자동차 관련 핵심인력 양성에 나선 바는 있지만, 대부분 기계공학 중심이었다. KAIST와 현대차는 이번 협약에 따라 전자전산 중심의 융합 학제로 운영키로 했다.

전공 명칭은 '전기전자공학석사(미래자동차학제전공)'으로 2년 과정이다. 교육과정은 미래 자동차의 핵심 기술인 '자율 주행'과 '친환경 차' 연구 역량을 갖추는데 집중하기로 했다.

KAIST 권인소 책임교수는 "다른 대학과 기업이 협력하는 기계공학 중심의 미래차에 대한 연구와 달리, 이번 협약에 따라 개설되는 과정은 전자·전산을 중심으로 한 본격적인 자율주행차 핵심 인재를 양성하려는 것"이라며 "특히 자율주행차 대중화의 걸림돌인 배터리 충전문제와 AI를 융합한 자율주행 기능에 집중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장학생 선발은 현대자동차의 사원 선발 프로세스를 거친 뒤 KAIST 석사과정 입학전형 등 두 단계를 거치도록 했다. 현대자동차의 산학장학프로그램 지원자를 대상으로 한 면접에는 KAIST 교수진이 참여해 학업 가능성과 장래 성장 가능성을 중점으로 한 면접도 진행된다. 이 과정을 거친 합격자들에 대한 KAIST의 별도 입학전형으로 최종 장학생을 확정한다. KAIST는 최대 15명을 선발할 예정이지만, 적합한 지원자가 없을 경우 10명 내외가 될 수 도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원자격은 군필(면제자 포함), 4년제 학부 졸업자로 학부에서 기계·전자·전산이나 산업공학 등의 이공계열 전공자다. KAIST 학부 졸업자들이 상당수 지원할 것으로 전망된다.

메트로신문사

권인소 KAIST 책임교수(왼쪽)와 현대엔지비 오창익 대표이사가 지난 19일 '미래 자동차기술 분야 대학원 학제 설립 협약'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KAIST


합격자에 대해서는 등록금 전액은 물론 매달 생활비 등 기존 KAIST 석사과정생과 유사한 파격적인 혜택이 부여된다. 또 현장실무 연구나 현업과제 참여 기회 등을 제공하고 공동 학술대회를 통해 상호 교류를 확대하는 등 현대자동차 입사 후 바로 현업에 투입해 성과를 낼 수 있는 핵심 인재를 양성한다는 방침이다.

2년 과정을 거치면 현대자동차 입사가 보장된다. 단 현대자동차 현업배치 프로세스를 거쳐야 한다. 각 부서별 본인 전공분야에 대한 전문성 등에 대한 면접을 통해 불합격될 수도 있다. 이 과정에서 불합격해도 기존 지원받은 등록금의 혜택을 보전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지원받은 학생이 스스로 입사를 포기할 경우에는 기존에 받은 장학금 등을 반납해야 한다.

이처럼 현대자동차가 전자정보사업 기반 미래차 핵심인재 양성에 본격 나선 이유는 자동차 산업이 기존 기계공업 중심에서 전자정보산업 기반으로 바뀐데 따른 것이다. 특히 인공지능 자율주행차 개발 경쟁에 가속도가 붙고 있지만 우수인재 확보가 쉽지 않아 우수인재 선점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KAIST는 이번 협약에서 2024년까지 5년간 50여 명의 석사를 배출하기로 협약했으나 20년째 진행 중인 기존 삼성이나 SK하이닉스와의 프로그램처럼 연장을 통해 미래차 핵심 인재를 지속 배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권인소 교수는 "도요타가 최근 배터리를 교체해주는 쪽으로 검토하기로 하는 등 미래차 대중화 걸림돌 중 하나가 충전 문제"라면서 "인공지능 분야와 함께 기계, 전자, 전산 융합분야 교육과 연구를 통해 미래차 핵심 기술 확보에 공헌 할 수 있는 우수 인재를 양성하겠다"고 말했다.

한용수 기자 hys@metroseoul.co.kr

ⓒ 메트로신문(http://www.metroseoul.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문의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