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신체적 위협에 '감정 노동' 까지…소방관 정신건강 위험하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 악화시켜

쿠키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각종 신체적 사고의 위협에 시달리는 소방관들이 '감정 노동'으로 인한 스트레스에도 심각하게 노출되고 있다. 특히 '감정 노동'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증상을 악화시킨다는 연구가 보고돼 이런 부담을 줄이는 장치가 마련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지난해 발생한 제천 참사 경험소방관 40%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시달리는 등소방관들은 사고 현장 투입 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발병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분당서울대병원 공공의료사업단 김정현 교수, 박혜연 임상심리전문가 연구팀은 감정 노동이 소방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20일 그 결과를 발표했다. 분당서울대병원 공공의료사업단은 경기도 내 34개 소방서에서 정신건강증진 교육을 진행하는 등 소방공무원을 위한 공공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연구팀에 따르면 2015년 국가인권위원회의 연구인 '소방공무원 인권 상황 실태조사' 결과, 소방관의 37.9%가 연구기간 동안 언어적 폭력을 경험하고 있었다. 구급구조 요원들의 경우 81.2%가 감정노동을 경험하고 있었다.

연구팀이 경기도 소방공무원 7190명을 대상으로 소방관의 정신 질환 및 위험 요인을 조사해 분석한 결과, 최근 외상성 스트레스 사건을 경험한 소방관 중 감정 노동으로 인한 정서적 고통이 큰 소방관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이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 중 외상성 스트레스 사건을 겪었을 때, 사건 이후 일상적으로 감정 노동 업무에 시달리는 소방관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더 취약할 수 있다는 것이다.

김정현 교수는 '소방공무원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서는 감정 노동의 부담을 줄여서 그로 인한 정서적 고통을 감소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감정 노동에 대한 치료적 개입과 함께 119 서비스 수혜자들의 폭언 및 부당한 요구로부터 소방공무원을 보호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통합정신의학(Comprehensive Psychiatry)' 최신호에 게재됐다.

유수인 기자 suin92710@kukinews.com

쿠키뉴스 유수인 suin92710@kukinews.com
저작권자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