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제약 임상소식] 한미약품 ‘포지오티닙’, 폐암 이외 암 치료 임상 결과 공개 外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미약품 포지오티닙, 폐암 외 다양한 암 치료 가능성 확인=한미약품은 최근 자사가 개발해 미국 제약기업 스펙트럼과 라이선스 계약한 내성표적 항암신약 '포지오티닙'의 HER-2 엑손20 유전자 변이에 대한 전임상 및 임상 데이터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암학회(AACR) 학술대회에서 지난 18일 공개됐다고 밝혔다.
한미약품 파트너사인 스펙트럼은 지난 10일과 18일 두 차례에 걸쳐 포지오티닙의 진전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10일에는 EGFR 엑손20 유전자가 변이된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진전된 임상 2상 결과를, 18일에는 HER-2 엑손20 유전자 변이가 발현된 양성 재발성 비소세포폐암 및 고형암 분야에서 치료 가능성을 확인한 임상 데이터를 공개했다.
회사 측은 '이번 연구 결과는 EGFR과 더불어 HER-2 엑손20 유전자가 변이된 두 가지 유형 모두에서의 난치성 암 치료 효과를 확인한 것'이라며 '향후 포지오티닙이 다양한 암종을 타깃하는 글로벌 혁신신약으로 개발될 가능성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설명해Te.
미국 엠디앤더슨 암센터 존 헤이맥(Heymach) 교수는 기존에 진행해 온 EGFR 엑손20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 대상의 임상 2상 중간결과에 대해 언급했다. 헤이맥 교수는 '우리가 처음 예상했던 ORR(객관적반응율)은 20~30%였으나, 첫 환자 11명에서 확인한 포지오티닙의 ORR은 매우 고무적인 수치인 64%로 나타났다'며 '이후 6.5개월이 지났지만 여전히 PFS(무진행생존기간) 중간값이 도출되지 않을 정도로 약효가 좋아 향후 결과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다'고 말했다.
엠디앤더슨 암센터 시우닝 리(Xiuning Le) 교수도 '우리의 기대치를 크게 상회한 연구'라며 '30명의 피험자가 임상등록을 마쳤고, 추가 모집 중인 20명도 완료가 임박했다'고 평가했다.
18일 발표된 HER-2 엑손20 변이 연구를 주도한 엠디앤더슨 암센터 재클린 로비쇼(Jacqulyne Robichaux) 박사(MD 앤더슨 암센터)는 'EGFR 및 HER-2 엑손20 변이 비소세포폐암에 대한 포지오티닙의 데이터 결과는 이 약이 다른 엑손20 변이 암종에서도 원발 내성을 극복할 치료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며 '비소세포폐암 외에도 다양한 고형암에 적용할 수 있는 포지오티닙의 치료 효과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스펙트럼 조 터전(Joe Turgeon) 대표는 '지속된 연구 결과들은 EGFR은 물론 HER-2 엑손20 변이 두 가지 모두에 포지오티닙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언멧 니즈가 높은 분야에서 포지오티닙의 유용성을 확인한 것은 물론, 포지오티닙 상용화 가능성이 명확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미약품 권세창 사장은 '이번 포지오티닙 임상 결과들을 통해 난치성 암 치료 분야의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는 획기적 전기가 마련됐다. 포지오티닙이 글로벌 혁신신약으로 빠르게 개발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타그리소,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 환자 질병 진행 후 예후 결과서도 지속 효과 확인=아스트라제네카는 EGFR 변이 양성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1차 치료에서 타그리소(성분 오시머티닙)의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글로벌 임상 3상 FLAURA 연구에 대한 탐색적 분석(exploratory analysis)을 통해 질병 진행 후 예후 결과와 관련한 신규 데이터를 발표했다.
현지시간으로 지난 13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럽폐암학회(ELCC, European Lung Cancer Conference)의 'Best of ELCC' 세션에서 공개됐다. 아스트라제네카 측에 따르면 타그리소는 EGFR TKI인 엘로티닙 또는 게피티닙과 비교한 질병 진행 후 예후 결과를 통해 1차 치료의 무진행 생존기간(progression-free survival, PFS) 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스트라제네카 글로벌 신약개발 담당 션 보헨(Sean Bohen) 부회장겸 최고의학책임자는 'FLAURA 임상 연구에 대한 새로운 분석을 통해 타그리소 1차 치료가 질병의 2차 진행 또는 사망의 위험을 거의 절반으로 줄이는 등 후속 치료 이상의 지속적인 효과를 나타냈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타그리소의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무진행 생존기간 결과와 함께 표준 요법으로서의 새로운 가능성을 공고히 한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 데이터 확정 시점에서 타그리소 1차 치료군의 치료 중단 환자 수는 EGFR TKI 대조군에 비해 적었고(49% vs. 77%), 타그리소 1차 치료군 중 후속 치료를 받은 환자의 비율은 29%로, EGFR TKI 대조군의 46%보다 낮았다.
타그리소 1차 치료군에서 첫 번째 후속 치료 또는 사망까지의 소요 시간의 중간값은 23.5개월(95% CI 22.0, NC)로 엘로티닙 또는 게피티닙 치료군의 13.8개월(95% CI 12.3, 15.7)보다 길었다.
타그리소로 1차 치료를 받은 환자들에게서 EGFR TKI 치료 중단에 이르기까지 소요되는 기간의 중간값은 23.0개월(95% CI 19.5, NC)로, 후속으로 타그리소 2차 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포함한 대조군의 16.0개월(95% CI 14.8, 18.6)에 비해 길었다. 또한 타그리소 1차 치료 군에서 질환의 2차 진행 및 사망(PFS2) 위험은 대조군에 비해 약 절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프랑스 구스타브 루시(Gustave Roussy) 암연구소 흉부종양위원회 데이비드 플랑샤르(David Planchard) 부교수는 '질병 진행 후 예후 결과는 항암 1차 치료 효과 측정에 있어 점차 중요한 척도로 인식되고 있으며, FLAURA 연구의 평가 항목들 전반에서 나타난 일관된 위험 감소가 FLAURA 연구의 전체 생존 기간 분석(overall survival analysis) 중간 결과에 대해 신뢰를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라젠 'mJX-594' 신장암 대상 전임상 연구결과 美암학회서 발표=신라젠은 'mJX-594'의 신장암 대상 전임상 연구결과를 지난 18일(현지시간) 시카고에서 열린 '2018 미국암학회(AACR)' 포스터 세션에서 발표했다고 지난 19일 밝혔다.
'항암 바이러스와 면역관문억제제 병용요법으로 신장암에서 면역치료제에 대한 불응성을 극복하다' 제목으로 면역치료가 쉽지 않은 불응성 신장암에 대해서 항암 바이러스를 병용하는 전략으로 반응성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 신장암 모델에서 mJX-594,PD-1억제제,CTLA-4억제제의 삼중 병용요법에 의해 종양이 완전히 소멸되는 완전 관해와 마우스의 생존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항암 면역이 현저히 억제된 비염증성종양(non-inflammed tumor)에 mJX-594를 투여하면 면역력이 되살아나는 염증성종양(inflammed tumor)으로 전환됐다.
회사 측에 따르면 mJX-594나 PD-1억제제 단독요법보다 두 제제를 동시에 투여했을 때에 항암 효과를 RENCA 모델(신장암 마우스)에서 보여줬다. 이 항암 효과는 두 가지 약물을 병용했을 때에 종양 내 T-세포(CD8+) 유입이 증가되고, 항암 효과가 상승됐다.
따라서 본 연구로 인해서 mJX-594가 종양 내 환경을 재조성하여 소위 약이 듣지 않는 종양(cold tumor)에서 약효를 발휘할 수 있는 종양(hot tumor)으로 변화시켰음을 보여줬다.
회사 관계자는 '면역관문억제제와의 병용요법으로 인하여 신장암에 대한 불응성을 극복하고 항암 효과를 초래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매우 크다. 더욱 자세한 내용의 연구결과는 곧 투고할 논문을 통해서 공개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mJX-594 바이러스는 JX-594(펙사벡)와 동일한 치료 유전자를 갖고 있으나 설치류에는 감염성이 없는 JX-594와 달리 마우스 세포에 감염 될 수 있는 균주를 이용해 만든 동물실험용이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

쿠키뉴스 송병기 songbk@kukinews.com
저작권자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